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LNG 수출 확대 정책이 미국 내 에너지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유럽에 LNG 수출을 늘리는 것을 관세 회피 수단으로 제안했으며, 국내 천연가스 생산 확대와 수출 증가를 통해 ‘에너지 지배력(Energy Dominance)’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재차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소비자 단체와 산업계는 “이러한 수출 확대가 결과적으로 미국 국민에게 더 비싼 가스요금을 안길 수 있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2022년 텍사스 프리포트 LNG(Freeport LNG) 단지의 폭발 사고 이후 수출이 중단되자 미국 내 가스 가격이 하루 만에 16% 급락한 사례는 ‘수출과 가격 상승 간의 직접 연관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회자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향후 LNG 수출이 급증하면서 2026년 천연가스 도매가격(MMBtu 기준)이 현재의 2배 이상인 4.5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DOE(미 에너지부)도 최근 보고서에서 “2020~2050년 사이 LNG 수출 확대로 인해 가구당 연간 122.54달러, 산업계는 누적으로 1,250억 달러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산업계의 반발: “미국 내 공급은 뒷전”
미국 산업계 역시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다. 미국산업에너지소비자협회(IECA)는 "25년 장기 수출계약에 따라 외국 기업에는 가스가 보장되지만, 정작 미국 내 제조업체는 단가가 20배 오르고 단전까지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한파 등 위기 상황에서 DOE가 수출을 통제할 수 있는 긴급 조항 도입을 제안한 상태다.
가스 수송업계를 대표하는 미국간선가스협회(INGAA)는 “문제는 수출이 아니라 미국 내 파이프라인 용량 부족”이라며, 가스망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반론: "LNG 수출은 가격 인상과 무관"
반면 LNG 업계는 “수출이 시작된 2016년 이후에도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주거용 가스요금을 유지하고 있다”며 수출 확대가 가격 상승의 원인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LNG센터(Center for LNG)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미국 내 천연가스 생산량은 수출 증가 속도를 3배 이상 상회했으며, 헨리허브(Henry Hub) 기준 가격은 과거 10년 대비 37%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반박한다.
특히 퍼미안 분지(Permian Basin)에서 나오는 부산물 가스(associated gas)는 거의 무료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래되며, 이로 인해 수출 확대가 별도의 가격 상승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 갈리는 전망…“과장된 보고서” vs “은폐된 리스크”
DOE의 보고서를 두고 전문가들 간 시각차도 크다. 옥스퍼드 에너지연구소(Oxford Institute for Energy Studies)는 “도매가 31% 상승 전망은 비현실적”이라며 4~8% 상승이 현실적 수치라고 평가했다. 반면 RFF(미국 에너지연구 싱크탱크)는 DOE 수치가 오히려 과소 추산됐다며 두 배 이상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 태국, 미국산 LNG 5년간 추가 수입…36% 관세 돌파구 모색
- 파키스탄, 미국산 원유 수입 첫 검토…29% 관세 회피 전략 본격화
- 인도네시아, 미국산 석유·LPG 수입 100억 달러 확대 제안
- 인도 GAIL, 美 LNG 프로젝트 26% 지분 인수 추진
- 트럼프 리스크 현실화…미국 풍력 주춤, 한국·일본 에너지 전략 수정 불가피
- 美, 中 조선업에 520만 달러 '통관 장벽'…LNG선도 직격탄
- 유럽 천연가스 가격 2.5% 하락
- 美 에너지장관, 유럽에 일침…"기후 경고주의 버리고 천연가스로 돌아가야"
- Freeport LNG, 4호 트레인 완공 2031년으로 또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