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태국 정부가 미국산 LNG 수입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최대 36%의 수출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양국 간 통상 마찰 완화를 위한 협상 카드로 활용될 전망이다.
태국의 피차이 춘하와지라(Pichai Chunhavajira) 재무장관은 4월 17일 현지 기자회견을 통해, “태국은 향후 5년간 미국으로부터 100만톤 이상의 LNG를 약 6억 달러에 추가 수입할 계획”이라며 “기존의 15년간 1500만 톤 규모 장기계약 외에 별도 추가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이미 2026년부터 연간 100만톤씩 총 15년간 미국산 LNG를 수입하기로 합의한 상태로, 내년부터는 1차 물량인 100만톤(5억 달러 규모)이 도입된다. 여기에 추가 물량이 더해질 경우, 태국은 미국 내 중장기 LNG 주요 고객국 중 하나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피차이 장관은 "태국은 단순한 수입국을 넘어 LNG 재수출 및 역내 허브 기능까지 준비하고 있다"며, "동남아 전역의 가스 수요 증가를 기회 삼아 수입-분배 모델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태국 정부는 미국산 에탄 40만톤(1억 달러 규모)도 4년간 수입할 계획이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원료 안정 공급 차원에서 결정된 것으로, LNG와 함께 통상 카드이자 산업 전략 수단으로 활용되는 셈이다.
이번 발표는 다음 주 예정된 태국-미국 간 통상 협상을 앞두고 나온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태국산 제품에 부과한 최대 36%의 보복관세 조치를 완화하기 위한 맞교환식 협상 전략이 본격 가동된 것으로 해석된다.
태국은 이미 미국산 옥수수, 대두박, 원유, 자동차, 전자부품, 항공기 등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으며, 미국산 쇠고기·주류 수입 허용도 고려 중이다. 단, 현재로선 미국산 돼지고기 수입은 제외된다.
피차이 장관은 “관세가 경제성장률을 1%포인트 가까이 끌어내릴 수 있다”며, “중앙은행과 협력해 수출 기업에 대한 세제 감면 등 타격 최소화 조치를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2023년 성장률 2.5%를 기록했으며, 당초 2024년 3% 성장을 목표로 했지만 관세 변수로 하향 조정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