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 안을 인용하고 대통령직을 파면했다. 에너지 업계에도 일시적 긴장감이 감돌았지만, 전반적 분위기는 “단기 혼란을 넘어 장기 대응에 집중하자”는 쪽으로 모아지고 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추진 동력은 일부 약화될 수 있으나, 업계 안팎에서는 산업 재편과 혁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론 혼선이 불가피하지만, 장기적으론 넷제로 달성과 탈탄소 에너지전환 전략의 완성도를 높일 수있는 기회”라며 “새 정부 출범 전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논의가 활발해지고, 정책 조율과 로드맵 구체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원전과 재생에너지 간 균형 조정, 수소 인프라 확충 로드맵 수정 등 과제들도 본격적으로 검토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투자 시장은 이번 정치 변동에도 한국 에너지 시장의 장기 신뢰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LNG 수입, 탄소중립 협력, 재생에너지 수출 프로젝트 등주요 사업들은 이미 중장기 계약 기반을 갖추고 있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는 평가다.
시장과 정부가 안정적인 전환에 초점을 맞춘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에너지 시장의 신뢰성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수소경제, 청정에너 지, 탄소감축 분야에서 미국, 유럽, 중동과의 다자 협력이 한층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번 정치 변동은 공공요금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의 단계적 인상 방안은 당분간 속도 조절에 들어갈 전망이다.
공공요금 안정 조치는 물가 안정에도 기여 하고, 요금 체계 개선 논의 역시 보다 투명하게 이뤄질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혼란과 위기는 또 다른 기회의 에너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