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한국원자력학회가 국가 에너지 안보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자력을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는 정책 제안서를 여야 정당에 전달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15일 「국민경제와 미래세대를 위한 국가 원자력 정책 제안서」를 더불어민주당 대선 캠프에 공식 전달했으며,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에도 조만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제안서는 5개 정책 방향 아래 14개 정책 제안과 40여 개 세부 과제를 담고 있다. 주요 정책 방향은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의 견인차, 원자력 ▲책임감 있는 에너지 원자력, 안전한 사용후핵연료 관리 ▲국가 미래 먹거리, 원자력 ▲국민건강 지킴이, 방사선 기술 ▲원자력 백년기반, 인재와 국민 지지 등이다.
원자력학회는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등 첨단산업으로 급증하는 무탄소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형원전 확대와 소형모듈원전(SMR)의 조기 실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원자력학회는 또한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가 임박해 원전 가동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며, 습식 저장시설 최대 활용과 함께 원전 부지 내 건식 저장시설의 조기 건설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심지층 처분 기술 개발,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기반 마련, 우라늄 안정적 수급 체계 확보 등을 통해 원자력의 지속 이용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원전 수출 전략과 관련해서는 민간 참여 확대를 통한 원전 산업생태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세계 원전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과제로 혁신형 SMR 조기 실증과 차세대 대형원전 개발을 강조했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글로벌 동위원소·방사선치료 산업 허브 육성, 방사선 응용연구 및 산업의 글로벌 거점도시 육성을 통한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원자력 분야 우수 인재 양성, 국민과의 과학적 소통 강화, 규제 체계 개편 등을 통한 산업기반 강화도 제안했다.
이기복 학회장은 "원자력이 '전기요금 안정, 산업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실현, 에너지 안보 확보'라는 네 가지 국가적 과제 해결에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며, "에너지 계획은 백년대계여야 하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널뛰어서는 안 된다. 원전 정책도 마찬가지다. 원전 정책이 또다시 번복된다면 우리 원전 산업과 국가 에너지 안보에 치명적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자력에 관한 학술 및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단체로, 5,000여 명의 전문가가 회원으로 있는 원자력 분야 최대 학술단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