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시설/CIP 제공
해상풍력발전시설/CIP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영국 정부는 지난 4월24일~4월25일 런던에서 개최된 ‘IEA 에너지안보 정상회의(Summit on the Future of Energy Security)’에서 북해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직접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에너지 주권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전환에 나섰다. 이번 정상회의는 IEA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전 세계 60여 개국 에너지 장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자리로, 공급망 안정과 에너지 전환의 조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총리와 에드 밀리밴드(Ed Miliband) 에너지안보·넷제로부 장관은 영국이 보유한 세계 2위 해상풍력 시장을 활용해 공급망 자립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병행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3억 파운드 직접투자…GB Energy 통해 공급망 핵심 장비 집중 육성

이번 발표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총 3억 파운드를 해상풍력 부문에 직접 투자하며,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인 GB 에너지(GB Energy)가 이를 전담 집행하게 된다. 투자 대상은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해저 전력 케이블 등 핵심 부품 제조업체로, 이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병목과 비용 증가 문제를 해소하고, 기술 자립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자금은 2025년 의회 회기에서 GB Energy에 배정된 83억 파운드 예산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해상풍력 외에 수소, 에너지저장 등 청정에너지 기술 전반에 대한 투자로 확대될 가능성도 언급됐다.

■ ‘Plan for Change’ 가속화…2030년까지 청정전력 95% 목표

스타머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에너지는 더 이상 국가의 취약점이 아니라, 강점이 되어야 한다”며, 청정에너지 전환과 에너지요금 완화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장기 전략인 ‘플랜 포 체인지(Plan for Change)’를 재확인했다.

이 전략은 2024년 12월 발표된 영국의 국가 청정에너지 전환 계획으로, 2030년까지 전체 전력의 최소 95%를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고, 에너지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영국은 세계 2위의 해상풍력 설치 국가이나, 최근 공급망 병목·인플레이션 등으로 프로젝트 지연과 취소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번 투자를 통해 산업 전반의 회복탄력성을 확보하고, 해상풍력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