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작성
Ai 작성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로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생산라인 중단 위기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은 지난달 9일 미국 정부에 보낸 비공개 서한에서 이같은 우려를 제기했다. AAI는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BMW, 메르세데스-벤츠, 폴크스바겐, 도요타, 현대차, 기아 등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참여하는 업계 단체다.

AAI는 서한에서 "희토류 자석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접근이 없으면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들이 자동변속기, 스로틀 보디, 얼터네이터, 각종 모터, 센서, 안전띠, 스피커, 조명, 파워 스티어링, 카메라 등 핵심 부품을 생산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심각한 경우 생산량 감축이나 차량 조립라인 중단까지 필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월 4일부터 희토류 7종에 대해 중국 밖으로 반출할 때 특별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다. 대상 품목은 전기차용 자석에 첨가되는 디스프로슘, 코발트 자석에 쓰이는 사마륨, 조영제로 사용되는 가돌리늄, 형광체 원료 테르븀, 방사선 치료용 루테튬, 항공기 부품용 스칸듐, 고체 레이저 제조용 이트륨이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의 약 70%를 채굴하고 전 세계에서 채굴된 희토류의 90% 이상을 가공하고 있어 중국의 수출 통제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실제로 지난 4월 중국산 희토류 자석의 대미 수출이 절반으로 급감했다. 허가 신청 절차가 불투명하고 기업들이 수백 쪽에 달하는 서류 제출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난달 30일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 기업에 대한 희토류 자석 수출 제한 해제에 합의했지만, 수출 허가 부여가 충분한 속도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일부 핵심 희토류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이 '관세 휴전' 합의 조건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주미 중국대사관은 미국이 반도체 분야 수출 통제를 남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독일 자동차업계도 같은 우려를 표명했다. 힐데가르트 뮐러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회장은 "상황이 빨리 나아지지 않으면 생산 지연이나 생산 중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