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태양광 발전단지/IEA 제공
북유럽 태양광 발전단지/IEA 제공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명승엽 PD의 5월 태양광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산업이 고효율 기술의 급진전과 지정학적 규제 강화라는 두 흐름 속에서 격동기를 맞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세계 최고 효율의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을 선도하는 한편, 유럽과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공급망 안전 확보를 위해 통상 장벽을 높이고 있는 반면, 한국의 대응 전략은 여전히 모호하다는 평가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NREL(재생에너지연구소)이 공인한 태양전지 효율 순위에서 중국 롱지(LONGi)의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셀은 34.9% 효율로 1위에 올랐다. 한국 서울대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셀로 26.3%를 기록해 세계 2위를 유지했다.

상용 모듈 시장에서도 중국 아이코(Aiko)와 롱지가 각각 24.2%, 24.1%의 고효율 후면전극 모듈을 출시하며 경쟁력을 과시했다. 트리나솔라, 캐나디안솔라, 통웨이 등 주요 중국 기업들도 TOPCon, HJT, IBC 등 고성능 모듈을 앞다퉈 선보였다.

한편 글로벌 태양광 모듈 가격은 다시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PV인사이츠에 따르면 n형 M10 모듈 가격은 와트 당 0.08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공급 과잉과 중국 내 신규 정책 전환을 앞둔 설치 붐이 복합 작용한 결과다. 폴리실리콘 가격도 kg당 4.28달러로 하락하며 전반적인 가격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중국은 올해 1~4월에만 104.9GW의 신규 설치용량을 기록, 지난해 상반기보다 2개월 빠르게 100GW를 돌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태양광 제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30.5% 급감했다. 특히 웨이퍼와 모듈 수출은 각각 52.1%, 33.0% 줄었다. EU로의 수출은 40% 가까이 감소했다.

미국은 중국산 인버터에서 보안 취약성이 드러난 것을 계기로 재생에너지 공급망 재편에 나섰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일부 중국 제품에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은 통신장치가 발견돼 사이버 보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유럽도 이와 관련한 대응을 준비 중이다.

또한 미국은 동남아 4개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해 반덤핑·상계관세(AD/CVD)를 오는 16일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산 제품에 높은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며, 중국 기업들은 우회 수출로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지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국 하원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하의 청정에너지 세액공제를 조기 종료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 제조업체 287곳이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태양광산업협회(SEIA)는 해당 법안이 시행될 경우, 2030년까지 22조원 이상의 투자 손실과 약 29만 개 일자리 감소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럽연합(EU)은 전략기술 자급률을 40%로 높이기 위한 ‘넷제로 산업법(NZIA)’ 보조 법안을 발표했다. 이 법안은 2026년부터 경매기준에 사이버보안, 지속가능성 등을 포함하도록 회원국에 의무화하며, 유럽 내 생산 유인을 강화하는 조치다.

중국·미국의 무역 분쟁 여파로 중동과 동남아가 새로운 제조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SEG Solar는 인도네시아에 2GW 태양전지 생산라인을 가동했으며, 싱가포르 Gstar는 필리핀에 1.5GW 규모의 공장을 완공했다. 일본 기업 니폰에너지도 UAE에 HJT 모듈 생산기지를 마련했다.

2025년 태양광 산업은 기술 경쟁력과 지정학적 리스크의 양축 사이에서 진로를 모색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은 고효율, 저탄소 모듈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한편, 주요국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한국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력 확보와 공급망 전략 수립을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