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강화남단 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마지막 행정절차에 돌입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9일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안이 주민공람 단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오는 23일까지 진행되는 주민공람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16일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사전 자문회의를 개최해 전문가들의 최종 검토를 받을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계획안을 보완한 후, 이달 말 산업통상자원부에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신규 지정 신청서를 제출한다고 발표했다.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정부는 올 하반기 중 개발계획 승인과 구역 지정을 고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화남단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공항경제권으로, 송도·영종·청라로 구성된 기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의 연계성이 뛰어난 전략적 입지를 갖췄다. 또한 풍부한 문화유산과 서해의 자연환경이라는 문화관광 경쟁력도 보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첨단산업과 AI 기반의 지속가능 도시 ▲역사·문화·자연이 어우러진 K-문화 도시 ▲친환경 정주형 미래도시로 개발될 계획이다.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정부의 바이오 대전환 전략에 맞춰 레드·그린·블루·화이트 바이오를 아우르는 통합형 K-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이 핵심이다.
레드 바이오(의료·제약) 분야에서는 지역 한방자원과 연계한 기능성 의약품 개발과 의약 소재 연구,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그린 바이오(농생명·식품) 분야는 강화도의 농특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과 화훼 단지, 유전자 기반 작물 연구개발이 포함된다. 여기에 화이트 바이오(에너지·환경)와 블루 바이오(해양) 산업도 함께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 로봇, 인공지능, 모빌리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자연,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관광 콘텐츠와 숙박·레저 시설을 결합해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이번 신규 지정 구역은 화도면과 길상면 일대 6.32㎢(약 190만 평) 규모로, 총 사업비는 영종-강화 간 연결도로 4차선 확장 등 광역교통망 구축비를 포함해 3조2,000억 원 으로 추정된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확대는 인천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 사업"이라며 "접경지를 국가정책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