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9월 시행을 앞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바탕으로 전력망 확충 사업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언주·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전기신문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시급한 전력망 확충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력 산업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는 서해안 HVDC 사업을 중심으로 한 전력망 확충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김형근 한국전력공사 신송전개발처장은 "서해안 HVDC 건설을 단 하루라도 앞당기기 위한 방안을 백방으로 찾고 있다"며 "용인 반도체 송전설비처럼 서해안 HVDC도 전략 인프라로 인식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제도적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38년 국내 전력수요는 2023년 대비 32% 증가한 129.3GW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전력 자급률이 낮은 수도권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을 보내는 송전망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서남권 재생에너지를 수도권과 직접 연결하는 서해안 HVDC 사업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인허가 절차가 전체 사업기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등 사업 여건은 쉽지 않다.
김 처장은 "대규모 송전망 사업은 예타만으로도 최소 1년 이상 걸린다"며 지자체 협조와 함께 국내 공급망 강화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HVDC 시장을 글로벌 3사가 90% 장악하고 있어 국내 제조사와의 협력 구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성환 의원은 "특별법 통과로 법적 기초는 마련됐지만 여전히 속도와 내용 모두 부족하다"며 "RE100을 넘어 RE300 시대에 대비해 전력망을 전략시설로 간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재생에너지 개발사와 공급망 업계 관계자들이 행사장을 가득 메워 전력망 확충 문제의 시급성을 보여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