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안전 캠페인 활동./ 환경부 제공
화학안전 캠페인 활동./ 환경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고용노동부가 여름철 대정비 시즌을 맞아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합동 안전점검에 나섰다.

양 부처는 17일 오후 울산시 울주군 에스-오일(S-OIL) 온산공장을 직접 방문해 ‘정유업체 대정비 기간 화학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현장 합동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다수의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정유공장이 4~5년 주기로 진행하는 대정비(턴어라운드, Turn-around) 기간 중 사고 발생 위험이 특히 높아지는 데 따른 조치다.

실제 최근 5년간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유해·위험물질 다량 취급 사업장 공정안전관리제도) 사업장에서 발생한 화재·폭발·누출 사고 73건 중 43.8%가 대정비 기간의 정비·보수작업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점검에는 환경부 박연재 환경보건국장과 고용노동부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이 직접 참여해 현장을 둘러봤다.

양 부처는 △협력업체 대상 안전교육 이행 여부, △탱크 및 밸브 내 잔류 화학물질 제거 절차 준수, △적정한 개인보호장구 착용 실태, △화학물질 누출 감지기 관리상태, △화재·폭발 점화원 제거 여부 등 주요 안전사항을 집중 점검했다.

또 공장 내 현수막을 부착하고 대정비 기간 중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을 담은 리플렛을 배포하는 등 현장 근로자 대상 캠페인 활동도 병행했다.

박연재 환경보건국장은 “정비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화학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이번 점검의 핵심”이라며 “환경부와 고용부가 보유한 각각의 전문 역량을 융합해 현장의 안전관리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도 “대정비 기간에는 원·하청이 함께 일하는 혼재작업이 많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모든 작업자가 철저히 안전작업절차를 준수해야 한다”며 “한순간의 방심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고위험 정비작업일수록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 2월부터 주요 정유업체의 대정비 기간을 중심으로 전국 현장 합동점검을 진행 중인 양 부처는 이번 에스오일 점검을 계기로 여름철 정비작업이 집중되는 시기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고위험 작업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지속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