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이호현 제2차관이 1일 취임사를 통해 "전자생존 시대"를 맞아 에너지 대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에너지고속도로 구축과 RE100 산단 조성 등 중대한 과제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전자생존, 요즈음 제가 잘 쓰는 표현"이라며 "전기가 없는 단 하루, 아니 단 한 시간도 우리는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가 생존 조건인 시대가 되었으며, 누가 더 저렴하고 깨끗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느냐에 따라 기업과 산업의 경쟁 지형이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글로벌 에너지 패권 경쟁의 양상 변화도 지적했다. 그는 "석유 시대에 유조선과 가스 운반선을 앞세워 해상패권을 쥐었던 국가들이 이제 대규모 송전망과 해저케이블을 통해 그리드 패권국가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며 "로마 시대에 도로망이 제국의 팽창과 번영을 가능케 한 것처럼, 오늘날에는 전력 그리드를 통한 연결과 통합이 국가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핵심 수단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전기 시대의 지역 자급자족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차관은 "전기의 소비자이자 생산자인 프로슈머의 등장과 마이크로그리드, 분산전원 등은 에너지 자원의 편재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에너지의 접근성을 높여준다"며 "VPP, V2G, ESS, 섹터커플링과 같은 혁신적인 비즈니스와 스타트업의 등장은 시장의 문을 새로 열고 지역에 경제적 가치와 부를 축적하며 국가 경제에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차관은 현재 직면한 과제로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RE100 산단 조성,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꼽으며 "이는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며, 에너지와 산업의 대전환 앞에 눈을 감거나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에 적기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글로벌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과거 성과를 바탕으로 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이 차관은 "상공부와 동력자원부 선배님들은 에너지 대전환의 갈림길에서 과감한 결단을 내려 맨땅에서 원전산업을 일으켰고 가스산업의 기반을 닦았다"며 "이러한 에너지 대전환은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의 성장을 견인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강의 조선산업을 탄생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 차관은 "에너지시스템의 혁신"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에너지 안보를 지키면서 경제적이고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들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며 "전기 시대에 걸맞는 에너지 가격체계, 시장구조, 제도 및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전력망도 에너지고속도로와 분산형 전력망으로 새롭게 레이아웃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차관은 "우리의 역량과 실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며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우리가 함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호현 차관은 지난 30여년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근무해온 에너지 정책 전문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