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의 성장 전망은 한국 조선업, LNG 시장, 해상풍력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 이미지 편집 
2025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의 성장 전망은 한국 조선업, LNG 시장, 해상풍력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정부가 조선업을 해양풍력 인프라 산업과 직접 연계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하부구조물, 부유식 발전기기, 설치·운송 선박 등 조선소 기반으로 제작이 필요한 설비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부는 ‘에너지 기반 조선업 재편’을 핵심 정책으로 설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중 해양풍력과 조선·기자재·설치 기업을 연계한 ‘해양에너지 공급망 전환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미 국내 대형 조선 3사 중 하나인 한화오션은 해양플랜트·FPSO(부유식 원유 생산설비) 건조 경험을 활용해 부유식 하부구조물 및 설치선박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이다.

HD현대중공업도 해양풍력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조선과 해양플랜트 사업 역량을 활용해 풍력발전 시장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 삼성중공업은 풍력 전용 설치선뿐만 아니라 플로팅 변전소(FOSS)와 전선 설치선(Cable Laying Vessel)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해상풍력 관련 특화지대(전남 신안·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중심으로 조선소 설비 개조, 해상풍력용 초대형 기자재·설치선박 생산 지원 등을 통해 국내 공급망을 확대한다. 특히 해상풍력 설치·운송에 특화된 OSV(Offshore Support Vessel) 모델 양성을 위한 연구개발과 현장 실증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026년 이후에는 조선사가 선박뿐만 아니라 해양에너지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확보해 수출 경쟁력이 생긴다”며 “조선-기자재-설치시장에서 통합 공급이 가능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