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 社의 조선소 전경. /HD현대 제공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 社의 조선소 전경. /HD현대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HD현대가 미국 본토에서 전략적 선박 건조 협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HD현대는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에 본사를 둔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dison Chouest Offshore, 이하 ECO)’와 미국 상선 건조를 위한 독점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지난 6월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19일(현지시간) ECO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HD한국조선해양의 최한내 기획부문장과 ECO의 디노 슈에스트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서명됐다. 양사는 2028년까지 미국 내 조선소에서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을 공동 건조하기로 합의했다.

HD현대는 선박 설계, 기자재 구매대행, 건조 기술 지원 등 전방위 기술 협력을 제공하며, 일부 선체 블록도 직접 제작해 ECO 측에 공급한다. 더불어 양사는 기술 자산 공동 투자에도 나서며, 향후 협력 범위를 다른 선종과 안보 민감 분야인 항만 크레인까지 확장할 방침이다.

ECO는 미국 내 5개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양지원선(OSV) 약 300척을 자체 건조·운용 중인 세계적인 해양 선박 전문 기업이다.

■ “미국은 우방이자 전략 파트너…기술로 조선산업 재건 지원”

글로벌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 조선소가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단 3척에 불과하다. 미국 내 자체 상선 건조 역량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ECO는 조선 분야 글로벌 1위인 HD현대에 협력을 공식 요청했다.

HD현대 측은 "미국은 우리의 든든한 우방이자 중요한 사업 파트너"라며, "ECO와의 협력을 통해 미국의 조선업 재건과 안보 역량 강화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HD현대의 미국 시장 내 기술 외교 행보의 연장선이다.

회사는 지난 4월 미국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Huntington Ingalls Industries)’ 및 방산 핵심 기자재업체 ‘페어뱅크스 모스 디펜스(Fairbanks Morse Defense)’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7월에는 서울대·미시간대와 함께 조선 인재 양성 교육협력 MOU를 체결하며, 한미 해양 기술 연계를 확대해왔다.

■ 美 조선업 부활의 ‘기술 수혈’…에너지 전환 선박 수요 겨냥

이번 프로젝트에서 주목할 점은 LNG 이중연료 기반의 중형 컨테이너선을 건조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의 탄소중립 선박 수요 증가 및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해운 인프라 강화 기조와도 맞닿아 있다. HD현대는 세계 최고 수준의 LNG 추진선 설계 및 건조 기술을 미국에 이전함으로써, 상선 시장뿐 아니라 방산·친환경 선박까지 협력 스펙트럼을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HD현대와 ECO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단순한 선박 건조 협력을 넘어, 한미 양국 간 해양 안보·에너지 수송 체계까지 아우르는 장기 파트너십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용어 설명 :

· HD현대 = 지주회사로서 HD한국조선해양을 중심으로 조선해양 전문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HD한국조선해양은 조선해양 사업의 중장기 발전 방향과 성장 전략을 제시하는 핵심 계열사. HD한국조선해양은 다시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등 조선 계열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특히 HD현대중공업은 조선·대형엔진 부문에서 세계 1위의 종합중공업 기업으로,  선박 건조와 해양플랜트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즉, HD현대가 지주회사 역할을 하며 HD한국조선해양이 조선해양 사업을 총괄하고, HD현대중공업이 실제 조선과 엔진 제조를 담당하는 구조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