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삼성중공업은 친환경 선박 운항 안정성 향상과 선원 교육 효율성 강화를 위해 VR(가상현실) 기반 훈련 솔루션을 개발해, 이를 대만 글로벌 해운사 에버그린(Evergreen) 본사에 설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VR 솔루션은 1만6500TEU급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에 적용되는 장비로, 선원들이 실제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도 가상 공간 내에서 엔진룸과 연료 공급 설비를 조작 및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삼성중공업은 3D 설계 데이터를 활용한 현실감 높은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선원들이 연료 누출, 선내 화재 등 비상상황에 대한 반복 훈련도 가능하도록 했다.
■ 환경규제 강화 속 선박 교육 기술 수요↑…VR로 안전성·효율성 확보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메탄올·암모니아 등 대체연료 기반의 친환경 선박 발주가 급증하면서, 해운업계는 이에 맞는 선원 교육 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의 이번 솔루션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해, 고장·오작동 위험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지털 훈련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VR을 통해 기존 디젤엔진과는 구조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충분히 익힐 수 있어, 실제 운항 시 리스크를 사전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평가된다.
■ 자율운항 공동연구도 본격화…디지털 조선소 전략 확대 중
삼성중공업과 에버그린은 이번 협력에 이어, 향후 운항 중 선박을 대상으로 한 자율운항 시스템(SAS: Smart Autonomous Ship) 기술 공동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디지털 기반 해운 생태계 구축의 핵심 축으로, 조선·해운산업 전반의 기술 전환 가속화를 이끌 전망이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부사장)은 “이번 VR 솔루션은 고객의 니즈에 맞춘 맞춤형 디지털 기술 혁신 사례”라며, “향후 AI 기반 선박 운영 시스템까지 포함해 고객 중심의 디지털 역량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부터 디지털 트윈, AI 기반 운영, 시뮬레이션 툴 등 디지털 조선소 전략을 강화해왔으며, 이번 솔루션은 기술 협력을 실선에 적용한 상업화 사례로서 주목받고 있다.
- 삼성重, 코랄 FLNG 2호기 본계약 초읽기…역대 최대 해양플랜트
- 삼성重, 대규모 해양생산설비 협약…수주목표 34% 달성
- 삼성重, 성동∙건화와 협력 MOU…조선 경쟁력 강화 박차
- 정부, 해양풍력 조선업 직접 연결… 조선산업 재편 나선다
- 삼성중공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5' 발간…ESG 전면 강화
- 암모니아 오수 배출, 국제 기준 만든다… KR-조선5사-KTR 협의체 출범
- '디지털 조선소'로 진화하는 빅3…AI·클라우드·로봇이 재편
- 이산화탄소 잡고 연료로 바꾼다…삼성중공업 OCCS 실증 ‘청신호’
- 삼성중공업, 11년 만에 분기 영업이익 2000억 돌파
- 폭염 속 '시원한 동행'… 삼성重-카타르 선주, 현장 근로자 안전 챙긴다
- 삼성 EPC 3사, ‘2025 콘테크 공모전’
- 삼성重, LNG운반선 6척 2.1조원 수주…연간 목표 절반 돌파
- 삼성중공업, 美 비거 마린과 전략적 파트너십…MRO 시장 첫발
- 삼성重, ‘암모니아-수소 연료전지 선박’ AIP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