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한국동서발전이 충주시 중앙탑면 일원에 추진 중인 서충주 LNG 복합발전소 건설 사업이 주민 반발과 행정 절차 지연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전력수급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는 충주시와 동서발전 측과 달리, 주민들은 환경오염과 건강권 침해를 우려하며 사업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사업 추진 현황과 주민 반발 '격화'
동서발전은 2023년 7월, 충주시, 드림파크 SPC와 LNG 발전소 건립을 위한 공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후 충주드림파크산업단지 내 부지 18만1818㎡(약 5.5만평)에 500MW급 LNG 복합발전소 1기 건설을 계획했다. 사업비는 약 9000억원이며, 2029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한다. 올해 3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충주복합발전사업' 전기사업허가 변경을 신청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발은 거세다. 5월 15일 충주시 주최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발전소 건립 시 발생할 대기·수질오염과 안전 대책이 부재하다며 반발했고, 설명회는 파행됐다. 이후 1만여 명이 서명운동에 동참했으며, 7월 3일에는 충북충주LNG발전소반대범대책위가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립 백지화"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충주 지형 특성상 오염물이 전역으로 확산된다"고 지적하며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행정 절차 '난항'... 전기위원회 심의 보류
사업의 핵심 관건인 전기사업허가 심의는 지연되고 있다. 5월 23일 열린 제312차 산업부 전기위원회 심의에서는 "부지 확보 및 주민 수용성" 문제를 이유로 사업 허가가 보류됐다. 동서발전은 보완 서류를 제출했으며, 오는 22일에 열릴 예정인 제314차 전기위원회에서 변경허가안이 다시 논의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발전소 건설을 위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기재부)와 환경영향평가(환경부) 등 후속 행정 절차가 남아있다.
충주시는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충주 미래 경제·산업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언급하며 긍정적 견해를 내비쳤다. 시 관계자 또한 "향후 공청회·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것"이라며 "환경영향평가 결과 시민 건강을 위협할 수준의 문제가 확인되면 사업 추진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의회, '전면 재검토' 촉구... 정치권 논의도 본격화
주민 반발에 이어 충주시의회도 사업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 7월 8일 충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발표 자료를 통해 "LNG 발전소 건설 계획은 시민 건강권·환경권을 침해할 수 있다"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같은 위원회는 "경제논리만으로 추진될 사안이 아니다"라며 건설 중단 의견을 냈다. 시의원 19명 중 과반이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주민대책위는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등 정치권의 관심도 촉구하고 있다. 대책위가 8월 충북 지역 국회의원 및 시·도의원 등에게 공문 질의한 결과, 8명이 반대 입장을, 나머지는 입장을 유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