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편집 이미지 /안후중 기자
AI 편집 이미지 /안후중 기자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정부가 자율주행차와 스마트가전, 협동로봇, 무인기 등 첨단제품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온디바이스 AI반도체 기술개발에 본격적인 지원을 시작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K-온디바이스 AI반도체 기술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가 최종 의결됐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은 18일 국무회의에서도 필요성과 시급성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하에 국가 정책사업으로 추진되기로 결정됐다.

온디바이스 AI반도체는 독립기기에 탑재돼 서버 연결 없이 자체적으로 AI 연산을 수행하는 특화 엣지용 반도체다. 기존 GPU 대비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사업은 자동차, 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등 4대 주력업종별로 첨단제품 생산에 필요한 맞춤형 AI반도체와 AI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대 주력업종 수요기업과 국내 팹리스, 파운드리 등 앵커 기업들을 모두 연계해 K-온디바이스 AI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사업 성과가 단순한 반도체 개발에 그치지 않고 첨단제품의 양산까지 이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 주력산업의 AI 대전환과 함께 온디바이스 AI반도체 공급망 강화, 반도체 팹리스·파운드리 기업의 역량 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피지컬 AI 시대 핵심이 될 온디바이스 AI반도체의 신속한 개발과 실증, 양산을 통해 글로벌 신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우리 기업들의 외산 반도체 의존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산 AI반도체가 탑재된 첨단제품이 조속히 출시될 수 있게 산업부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