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이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24일 개최돼 26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포럼은 '그린수소와 분산에너지로 여는 K-탄소중립 이니셔티브'를 주제로,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국의 정책 및 기술, 시장 동향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장이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현대자동차 등이 후원한 이번 포럼에는 국제에너지기구(IEA),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비롯하여 독일, 덴마크, 태국 등 주요 9개국 106개 기관, 기업, 대학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그린수소 생태계 구현 방안에 대한 활발한 의견을 교환한다.
특히, 산업부와 제주도는 그린수소 생산 역량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2017년부터 시작된 250kW급 수전해 실증을 시작으로, 2024년에 완료된 3.3MW급 행원 수전해 단지 구축을 통해 하루 약 200kg의 수소를 생산하여 도내 수소버스와 수소 승용차에 공급하며 재생에너지 기반 청정수소 생태계의 가능성을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현재는 10.9MW급 수전해 단지가 북촌 지역에 구축 중이며,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산업부는 제주도, 서남해 등 재생에너지 밀집 지역에 50~100MW급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새 정부의 15대 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와 산학연이 참여하는 합동 추진단을 구성하여 재정, 세제, 금융, 규제 개선 등 국가 역량을 총동원하여 집중 지원받을 예정이다. 이는 지난 8월 22일 관계부처 합동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발표된 바 있다.
박덕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축사를 통해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과 연대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이 성공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는 협력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과 대규모 실증사업 추진은 대한민국의 탄소중립 실현과 글로벌 그린수소 산업 선도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