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이 집안 싸움을 벌이고 있다.
준공이 늦어지고 있는 바라카 원전 건설 추가 비용을 놓고 양측이 300억원대 소송비용을 투입, 전면전을 준비하고 있다.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서대문갑)이 한전과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UAE 바라카 원전 관련 중재 비용'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법무법인 피터앤김 140억 원, 한수원은 법무법인 김앤장 228억 원 등 양측이 총 368억 원을 소송비용으로 지출할 예정이다.
2년 안에 중재가 불발될 경우 소송비용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결국 국민혈세가 낭비되는 것이라고 김 의원은 밝혔다.
모회사인 한전과 자회사 한수원의 소송전은 바라카 원전 완공이 지연된 데 따른것이다.
바라카 원전은 당초 2020년 완공이 목표였다. 그러나 수 차례 설계가 변경됐고 그 결과 2024년 완공이 지연됐다. 이 과정에서 약 1조 40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추가비용을 놓고 한수원은 주계약자인 한전을 상대로 추가 비용에 대해 정산을 요구하며 런던국제중재법원(LCIA)에 제소했고, 양 사 모두 영국 현지 로펌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면서 집안싸움이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인 분쟁이 시작된 점을 고려하면 지난 정부가 분쟁 조정의 역할을 하지 않고 사실상 방치한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김동아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공기업 간의 분쟁을 방치한 결과 외국에 나가서 수백억 원의 혈세를 낭비하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지난 정부에서 한전과 한수원의 분쟁 문제를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책임을 추궁하겠다"고 말했다.
- [국감자료] 김동아 의원 "한수원 임직원 비위 심각" 지적
- [국감 자료] "국내 개발 원전 핵심부품 수입제품 독점" 우려
- [국감 자료] 김동아 의원 "한수원·웨스팅하우스 합의에 대통령실 개입"
- [국감 자료] 김정호 의원 "웨스팅하우스 계약은 부당" 비판
- 한전-COP, 해저케이블 진단기술 협력
- 한전, APEC 정상회의 전력 만전
- [2025 국감자료] 김동아 의원 "엘다바 원전은 윤석열 치적쌓기용"
- [2025 국정감사] 김동아 의원 "국내 핵심 원전 기술 해외 유출 가능성" 제기
- [2025 국정감사] 웨스팅하우스, 12조원 경제적 가치 독식 우려
- 한전 에너지캐시백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