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유럽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의 대외 정책 변화로 인해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 이에 따라 LNG 수입을 확대하며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체적인 가스전 개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유럽에는 대규모 미개발 가스전이 존재하지만, 정치적·경제적·기술적 문제로 인해 본격적인 생산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럽이 독립적인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지 여부가 국제 에너지 시장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유럽 내 주요 미개발 가스전은 키프로스, 루마니아, 노르웨이, 그리스 등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 가스전은 상당한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개발이 지연되거나 중단된 상태다.
지중해 동부에 위치한 섬나라 키프로스의 아프로디테(Aphrodite) 가스전은 2011년 셰브론(Chevron), 노블 에너지(Noble Energy), 쉘(Shell)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매장량은 0.1∼0.17조 입방미터(Tcm, Trillion cubic meters)로 추정된다. 2027년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나, 터키와의 해양 경계 분쟁 및 투자 부족으로 인해 개발이 중단된 상태다.
루마니아 넵튠 딥( Neptun Deep) 가스전은 2012년 OMV 페트롬(OMV Petrom)과 엑손모빌(ExxonMobil)이 발견한 것으로, 매장량은 0.1조 입방미터(Tcm)로 추정된다. 하지만 엑손모빌이 2022년 철수하며, 현재 OMV 페트롬과 루마니아 국영기업 로마즈(Romgaz)가 2027년 생산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다만 자금 조달 문제와 규제 승인 지연이 주요 난제로 작용하고 있다.
노르웨이 드발린 노스(Dvalin North) 가스전은 2021년 윈터스할 데아(Wintershall Dea)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매장량은 0.0056∼0.0119조 입방미터(Tcm)로 추정된다. 2020년대 후반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인근 드발린(Dvalin) 유전과 연결해 운영 비용을 절감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노르웨이의 환경 규제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키프로스 칼립소(Calypso) 가스전은 2018년 이탈리아 에니(Eni)와 프랑스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에 의해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매장량은 0.06∼0.08조 입방미터(Tcm)로 추정된다. 하지만 터키와의 해양 경계 분쟁과 심해 개발에 따른 높은 비용 문제로 인해 구체적인 생산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그리스 크로노스(Kronos) 가스전은 2022년 에너지안(Energean)이 발견했으며, 매장량은 0.03∼0.05조 입방미터(Tcm)로 추정된다. 아직 탐사 초기 단계로, 향후 추가적인 매장 가능성이 남아 있다. 하지만 개발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추가 탐사 및 경제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유럽은 러시아산 가스를 대체하기 위해 LNG 수입을 확대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가스 공급망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치적 불확실성, 경제적 부담, 재생에너지와의 경쟁 등이 문제로 남아있다.
키프로스와 터키간 영해 분쟁이 여전히 가스 개발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루마니아와 노르웨이에서도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개발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심해 가스전 개발에는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지만, LNG 시장 변동성이 크고 투자 수익성이 불확실해 기업들의 투자 유치가 쉽지 않다. 일부 에너지 기업들은 높은 개발 비용과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프로젝트 철수를 고려하는 상황이다.
유럽연합(EU)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가스 개발이 장기적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유럽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LNG 수입을 확대했지만, 공급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자체적인 가스 개발을 위한 미개발 가스전이 존재하지만, 정치·경제적 이슈로 인해 본격적인 생산이 지연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LNG 수입 확대가 불가피하나, 장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와의 경쟁 속에서 가스 산업의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이다.
향후 유럽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미개발 가스전을 적극 활용할지,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더욱 집중할지는 국제 정세와 정책 결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 용어 설명 :
· 1 Tcm = 1조 입방미터(㎥) = 35.3조 입방피트(Tcf, Trillion cubic feet). 천연가스의 매장량 또는 생산량을 측정할 때 사용. 카타르의 전체 가스 매장량은 약 25 Tcm. 세계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2022년 기준)은 약 4 Tcm. 러시아의 야말 가스전(Yamal gas field) 매장량은 약 10 Tcm. 1 Tcm 규모의 가스전은 국가 단위의 에너지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
- EU, 러시아산 천연가스 퇴출 목표… 현실적 한계 드러나
- 미국-EU LNG 거래, 무역 적자 해소의 해법인가
- 러시아 사할린 LNG 생산 감소
- 유럽 에너지 독립 강화… 몰도바, 천연가스법 개정 추진
- 우크라이나, 미국산 LNG 수입 확대… 유럽내 공급망 강화
- 세계 최대 LNG 트레이더 셸, “화석연료 축소는 무책임”
- "중국 덜 사줘서 살았다"…유럽, LNG '숨통' 겨우 트였다
- 넥스트디케이드, 토탈에너지와 20년 LNG 계약 체결
- 셰브론·토탈에너지, Gulf of America서 첫 생산…美 에너지 자립에 속도
- 토탈에너지스, 캐나다 Ksi Lisims LNG서 20년 장기계약 체결
- 유럽 가스 저장률 50% 돌파…"5년 평균엔 못 미쳐"
- 중동 전쟁 충격… 유럽 LNG 재충전 비용 폭등
- Eni, 美 벤처 글로벌과 20년 장기 LNG 계약
- 미국 LNG, 유럽 ‘메탄 규제’ 앞에서 딜레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