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LNG 시장 판도가 캐나다 중심으로 재편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
북미 LNG 시장 판도가 캐나다 중심으로 재편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오는 4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키티맷(Kitimat)에서 가동을 앞둔 LNG 캐나다는 단순한 플랜트가 아니다. 이는 캐나다가 자국의 에너지 주권(Energy Sovereignty)을 강화하고, 북미 LNG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도약할 수 있는 상징적인 프로젝트다.

이런 상황 속에서 캐나다 주요 에너지기업 CEO들이 캐나다 정치 지도자들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전략 전환과 규제 개혁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에너지 독립성 강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이들의 메시지는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이 재편되는 지금, 캐나다가 놓쳐선 안 될 기회를 강조한다.

CEO들은 서한에서 “에너지 인프라 확장, LNG 수출 증가, 규제 단순화” 등을 핵심 요구로 제시하며, 연간 1,400만 톤 규모의 LNG 캐나다 가동을 계기로 에너지 수출에 국가적 총력을 기울일 것을 요구했다. 현재 캐나다는 전 세계 5위권 내 산유국이지만, 수출 대부분이 미국에 집중되어 있어 ‘진정한 에너지 주권’과는 거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프로젝트는 쉘(Shell), 페트로나스(Petronas), 페트로차이나(PetroChina), 미쓰비시(Mitsubishi), 한국가스공사(KOGAS) 등이 참여한 글로벌 합작 투자 모델로, 아시아 직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국 걸프 연안 수출과 차별화된다.

흥미로운 점은 캐나다 서부와 인접한 알래스카도 LNG 재도약을 모색 중이라는 점이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내 인허가 지연으로 수년간 답보 상태였으나, 최근 미국 내 에너지 균형 재조정 및 서북부 수출 경로 다변화 논의가 확산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만약 캐나다 BC주와 알래스카가 ‘북미 북서부 LNG 수출 허브’로 기능하게 될 경우, 이는 기존의 미국 걸프코스트(Gulf Coast) 중심의 LNG 수출 구도에 실질적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

아시아는 여전히 카타르산 장기계약 LNG를 선호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산에 15% 관세를 부과하며 대체 공급원을 모색 중이다. 이 틈을 타 캐나다산 LNG는 청정 이미지와 안정적 장기공급 능력으로 아시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유럽은 러시아산 에너지 탈피 이후 LNG 의존도를 높여가며, 여름철을 앞두고 저장고 재충전(Injection Mode)에 돌입했다. 이는 북미, 특히 캐나다산 LNG의 수출 기회 확대로 직결된다.

CEO들은 공개서한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 변화를 강력히 요청했다. △환경 영향 평가법(Impact Assessment Act)과 서부 해안 탱커 금지(West Coast Tanker Ban) 완화 △프로젝트 승인 기한 6개월 이내로 명확화 △탄소세 폐지 및 투자 유인 확대 △원주민(Indigenous) 지분투자 보장 위한 대출보증제도 마련

이는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위한 요구가 아니라, 캐나다가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라는 점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LNG 캐나다의 가동은 단순한 플랜트의 시작을 넘어, 캐나다 에너지 전략의 변곡점이자, 북미 LNG 수출의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다. 알래스카와의 연계 가능성, 아시아 및 유럽 수요 환경, 그리고 국내 정치 환경까지 맞물리며, 지금이야말로 캐나다가 글로벌 에너지 무대에서 ‘주체’로 나설 수 있는 결정적 순간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