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낙동강유역환경청(낙동강청)이 녹조 발생 억제와 먹는 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염원 관리 강화 및 녹조제거설비 확대 등 입체적인 대응에 나섰다.
낙동강청은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해 낙동강 하류에 운영 중인 녹조제거설비를 지난해 4대에서 올해 9대로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칠서 3대, 물금매리·창녕함안보·합천창녕보에 각 2대씩 배치되며 이 중 창녕함안보는 육상형 장비가 도입된다.
서흥원 청장은 30일 물금매리 인근 선착장에서 설비 운영계획을 점검하며 “녹조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주문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해 녹조 대응에 총력을 다하여 먹는 물의 안전한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낙동강경청은 녹조의 주요 원인인 오염원 유입 차단을 위해 지난 5월부터 2개월간 경남·울산 지역 폐수배출업소 19개소를 특별 점검한 결과 10개소에서 총 11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주요 위반 내용은 △폐수배출시설 변경신고 미이행(7건) △변경허가 미이행(2건) △수질배출기준 초과(1건) △대기방지시설 훼손 방치(1건) 등이다. 특히 변경허가 미이행 2개소는 고발 조치될 예정이며, 나머지 8개소는 관할 지자체에 통보돼 행정처분 및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번 점검은 회야호 등 상수원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식료품·금속가공·세탁업 등 수질영향이 큰 업종을 중심으로 실시됐다.
서 청장은 “가뭄과 기온 상승으로 녹조 발생 우려가 큰 시기에 사업장 관리가 소홀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점검을 강화하겠다”며 “사업장에서도 철저한 시설 운영으로 수질사고 예방에 협조해 달라”고 강조했다.
- 낙동강 칠서 조류경보 ‘경계’ 단계 해제...물금·매리는 유지
- 서흥원 낙동강청장, 진양호 부유쓰레기·녹조 대응 현장 점검
- 서흥원 낙동강청장, 울산 천상정수장 복구 현장 방문
- 서흥원 낙동강청장, 칠서정수장 찾아 녹조 대응 실태 점검
- 낙동강 칠서지점 조류경보 ‘경계’ 발령...폭염·수온 상승에 녹조 확산
- 낙동강청, 경남 산청 다시 찾아 수해 복구 ‘구슬땀’
- “여름철 화학사고 막는다”…낙동강청, 8월 특별점검 돌입
- 낙동강청 “유해화학물질 관리제도 달라졌다...현장 숙지·이행 필수”
- 첨단 광학장비로 울산 석유화학단지 벤젠 노출 추적
- 낙동강청, 제8회 ‘생명의 강, 낙동강 사진 공모전’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