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발전5사 신임사장단과 만나 석탄발전 폐지 가속화에 따른 사업구조 재편 방안과 석탄발전 인프라 재활용 계획을 논의하고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발전5사에 ‘제2의 창사’ 수준의 과감한 사업구조 재편을 주문하며, 석탄발전 폐지 이후에도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라고 강조했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 따르면, 2025년 말 태안화력 1호기를 시작으로 2039년까지 발전5사가 보유한 석탄발전기의 75% 이상이 폐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발전5사는 고탄소 중심의 사업구조를 탈피하고 LNG·양수 등 대체건설 사업을 확대하며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에너지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
산업부는 발전5사, 지자체, 관계부처와 함께 석탄발전 폐지에 따른 지역경제·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내용을 담은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을 내년 1분기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로드맵에는 석탄발전 폐지 이후 남는 발전설비, 송전선로, 발전소 부지 등의 활용 방안도 포함된다.
최 차관은 “석탄발전의 전환은 단일 부처와 발전사만의 과제가 아닌 지역사회·근로자 등과 연결된 모든 부처와 지자체의 공동 과제”라며 신속한 로드맵 수립을 통해 발전5사의 과감한 사업구조 재편을 촉진하고, 석탄발전 폐지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