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복연 본원(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계 지역)/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원복연 본원(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계 지역)/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부산 기장군에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원복연)이 공식 개원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원식에는 정부, 지자체, 산·학·연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원복연은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의 영구정지에 따라 국내 원전해체 기술 자립과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설립됐다. 앞으로 원복연은 국내 원전해체 산업의 종합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며, 원전해체 기술 고도화, 해체 폐기물 분석, 해체기술 사업화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원복연은 원전해체 기술을 실증하고 해체 폐기물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전해체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해체기술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국내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원복연은 현재까지 완공된 시설을 활용해 방사화학분석,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공사가 진행 중인 실증분석동과 경주에 별도로 건립 중인 중수로해체기술원도 2026년까지 완공해 시설 인프라를 완성할 예정이다.

최남호 산업부 제2차관은 축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원전산업 생태계를 위해 원전해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등 후행주기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며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원전해체 기술 선도국으로 도약하는데 구심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