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부채와 개발에 관한 아시아인 운동’과 ‘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 회원들이 필리핀 마닐라에서 한국의 OECD 협상 반대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기후솔루션 제공
3일 ‘부채와 개발에 관한 아시아인 운동’과 ‘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 회원들이 필리핀 마닐라에서 한국의 OECD 협상 반대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기후솔루션 제공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15개 나라 국회의원과 환경단체를 비롯해 64개 주체의 항의를 모은 서한이 5일 한국 정부에 전달됐다. 이 항의 서한에는 유럽연합을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1개 수출신용협약 회원국이 동의하는 ‘화석연료 금융 제한’ 결의에 한국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현재 세계 각지에서 항의 시위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6일로 예정된 국가별 의견서 제출과 10일 협상 때 한국 정부가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서한에는 캐시 오코너 호주 국회의원을 비롯해 영국의 나탈리 베넷 등 세계 15개 국 국회의원이 이름을 올렸으며 서울환경연합, 그린피스 등 세계 각국의 49개 시민단체도 서한에 동참했다.

항의 시위 참여자들은 “우리는 지금 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 앞에 서 있다. 이는 OECD에서 진행 중인 화석연료 수출 금융 제한 협의에서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국제사회와 협력해 화석연료 금융을 중단하는데 동참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호소했다.

OECD 수출신용협약 11개 회원국은 각 나라의 공적수출 신용기관의 해외 가스, 석유 등 화석연료 프로젝트 자금 제한을 논의하는 중이다. 대다수 회원국이 동의하는 가운데 한국과 튀르키예만 현재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적으로 화석연료 금융 지원이 많은 일본도 반대 입장에서 선회해 찬성으로 돌아섰다.

이날 이들은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을 수신인으로 서명한 서한을 발송했다.

한국은 2020~2022년 동안 매년 약 100억 달러(약 14조원)의 화석연료 금융을 제공하며 캐나다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액수가 큰 ‘기후 악당’으로 불려왔다. 이들은 서한에서 “추가적인 화석연료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줄임으로써 대한민국은 기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