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 평가 결과. / 기후솔루션 제공
5대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 평가 결과. / 기후솔루션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국내 5대 석유화학·정유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솔루션은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S-Oil, SK이노베이션, LG화학, 롯데케미칼, GS칼텍스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평가한 결과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기술적 투자가 부족해 실질적인 감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5대 기업 중 S-Oil은 최하점을 받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석유화학·정유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3년 기준으로 6820만 톤에 달한다. 이는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기업별로는 S-Oil이 950만 톤으로 가장 많은 배출량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관리 계획을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5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평가한 결과 SK이노베이션이 가장 높은 점수(24점)를 얻었으나, 국제 기준에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LG화학(22점), 롯데케미칼(19점), GS칼텍스(16점), S-Oil(13점)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특히 “무상할당량이 배출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감축 효과를 저해한다”고 지적하며 제도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구체적인 감축 목표와 로드맵을 수립하고 전기 크래커 기술과 재생에너지 전환 등의 혁신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기준에 맞춘 배출량 공시와 관리 전략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 저자인 기후솔루션 노진선 연구원은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선언적 수준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저탄소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탄소중립 시대에 적합한 지속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필수적”이라며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국가 경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