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탈탄소 녹색 수출 산업 역할과 지원방안’ 토론회에서는 한국의 녹색산업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과 금융 지원 방안이 깊이 있게 논의됐다.
‘기후위기 탈탄소 경제포럼’과 ‘기후솔루션’이 공동 주최하고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구)이 연구책임의원으로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한국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녹색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구을)은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 재도약을 결합한 녹색산업 수출이 한국 경제 성장의 핵심이 돼야 한다”며 정부와 금융권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박정현 의원은 재생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등 녹색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공적 금융의 역할 강화를 강조했다. 산자위 박지혜 의원(경기 의정부시갑)도 한국이 탈탄소 산업 전환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정책, 금융의 병행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첫 발제자로 나선 BloombergNEF 서연정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각국이 재생에너지와 배터리, 전기차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녹색산업이 차세대 경제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재생에너지 보급률과 녹색 기술 혁신에서 주요국에 비해 뒤처져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기후솔루션 오동재 팀장은 “한국의 공적금융이 여전히 해외 화석연료 사업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며 “이는 한국의 탈탄소 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유럽연합(EU)과 영국, 일본 등 주요국들이 공적 금융을 활용해 녹색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도 공적 금융의 방향을 재생에너지와 녹색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종호 서울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한국산업은행 ESG 센터 최고운 녹색금융팀장, 한국수출입은행 강정화 선임연구원,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이사, 녹색전환연구소 지현영 부소장 등이 녹색산업 수출 확대와 금융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탈탄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이 녹색산업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공적 금융의 역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탈탄소와 녹색 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와 함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과 금융 시스템의 혁신을 촉구하는 자리가 됐다는 분석이다.
- LNG 터미널 확장 논란…가스공사 vs 환경단체, 정면 충돌
- 기후환경단체, 한국가스공사 공익감사 청구
- CO2보다 1만배↑ 온실가스 효과 HFCs, 기후위기 가속화 원인
- "세계 금융 기관, 한국 기업 투자 배제 급증"
- 5대 석유화학·정유사, 온실가스 감축 계획 미비
- 환경단체, 당진 LNG발전소 건설 중단 촉구
- 환경부, 印尼에 녹색전환지원단 파견
- [인터뷰] 박정 의원 “부총리급 기후환경부로 리더십 세워야”...정부조직 개편 쟁점
- 정부,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구축 박차
- EU 비즈니스 허브, ‘녹색 저탄소 기술 코리아 2025’ 전시상담회 성료
- 환경부, 녹색금융 전문가 첫 배출...녹색투자 실무 역량 강화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