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매의 전주기 흐름도 및 온실가스 배출 시점. / 기후솔루션 제공
냉매의 전주기 흐름도 및 온실가스 배출 시점. / 기후솔루션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 대응 비영리법인인 ‘기후솔루션’이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수소불화탄소(HFCs)가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1만2400배 더 강력한 온실 효과를 유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HFCs가 냉장고, 에어컨, 데이터센터의 냉각 시스템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높은 지구온난화지수(GWP)로 인해 온실가스로 분류되는 HFCs는 냉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등 인공지능 산업에서도 급증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15%씩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로 인해 냉동공조기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를 차지하며, 이는 항공 산업 전체 배출량의 두 배에 달한다.

HFCs는 한때 오존층 보호에 유리한 물질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드러나면서 국제사회에서 감축 논의가 시작됐다. 이에 따라 2016년 HFCs 감축을 목표로 한 ‘키갈리 개정서’가 채택됐다.

한국도 2045년까지 HFCs의 생산 및 소비량을 2020~2022년 평균 대비 80%까지 줄여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됐다.

하지만 한국의 대응은 다른 주요국들에 비해 뒤처져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2023년에야 키갈리 개정서를 비준했다. 2022년 기준 HFCs 배출량은 2018년보다 40%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HFCs 배출량은 기존 통계에 반영되지 않던 배출량이 발견되면서 급증, 2021년 HFCs 배출량은 기존의 4배로 늘어났다.

보고서는 HFCs의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한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HFCs를 대체할 수 있는 자연냉매로의 전환과 냉매 사용 전 주기 관리 시스템(LRM) 도입을 통해 HFCs의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 불소계열 온실가스를 통합 관리할 법 제정과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고도화하는 것도 필요한 조치로 언급됐다.

이번 보고서의 저자인 기후솔루션 메탄·HFCs팀 박범철 연구원은 “냉동공조기기 수요가 늘어날수록 HFCs 배출이 증가해 기후위기를 악화시킬 것”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HFCs가 7대 온실가스 중 가장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며 “냉동공조업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HFCs 감축 및 전환을 정부가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