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이 마련됐다. 이를 통해 금융회사는 자금의 사용 목적이 친환경 활동에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갖추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12일  협회, 학계, 연구기관 및 유관기관 등과 함께 '제6차 기후금융TF 회의'를 개최하고  기후금융 공급확대, 기후금융 역량제고, 기후금융 인프라 확충을 위해 그간 논의된 주요 정책과제들을 정리하고 논의성과를 공유했다. 

올해 기후금융TF의 마지막 wrap-up회의인 이날 회의에는 금융위(금융정책국장 주재),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금융연구원, 은행연합회, 손해보험협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보험연구원, 딜로이트 등이 참석했다.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실시

금융감독원은 한국은행 및 15개 금융사가 공동으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이 테스트는 기후변화가 금융리스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금융회사의 손실흡수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금융권 탄소배출량 플랫폼 구축

신용정보원을 중심으로 금융회사의 금융배출량을 산출하고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금융회사는 ESG 공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2024년 기후금융 목표 초과 달성

금융위원회는 2024년 10월 말까지 54조원의 정책금융을 기후금융 부문에 공급하여, 올해 목표인 48.6조원을 초과 달성하였다. 미래에너지펀드와 기후기술펀드의 조성을 통해 기후금융의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내년에도 기후금융 확대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고탄소 산업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전환금융' 도입과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기후금융상품 개발 등을 통해 기후금융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신진창 금융정책국장은 TF 구성원들의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내년에도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과 인센티브 확대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기후금융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금융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