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글로벌 환경 변화와 트럼프 신정부 출범을 앞둔 상황에서 우리 정부를 비롯해 석유업계가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석유협회·에너지경제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석유관리원이 주관한 ‘2024 석유 컨퍼런스’가 18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개최됐다.
이날 컨퍼런스는 '글로벌 환경 변화와 석유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의 시대적 흐름 속에 국내 정유산업은 위기를 겪고 있다"며 "정부의 선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축사를 통해 "친환경 연료 시장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법제 마련과 기술개발, 투자 촉진 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세션 1, 2로 나뉘어 진행됐다. 세션1에서는 '2025년 글로벌 환경변화와 석유 시장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에너지 전환 동향 사례 등을 소개했다. 이어 세션2에서는 '수요자에게 묻는다, 업계가 바라보는 석유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항공(SAF), 육상(e-fuel), 해운(바이오 선박유) 분야 탄소중립 대응 현황과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정보를 공유했다.
특히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국내 정유업계가 정부 지원과는 별개로 R&D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위기를 타개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한편 국내 석유업계 민·관·학 전문가들이 모여 석유산업 현안을 논의하고 미래 발전 전략을 논의한 이번 행사는 지난 2019년 이래 올해로 6회를 맞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