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개빈 뉴섬 주지사/출처: 캘리포니아 주정부
미국 캘리포니아주 개빈 뉴섬 주지사/출처: 캘리포니아 주정부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트럼프2기 출범으로 미 연방 정부의 기후 정책 후퇴가 파리기후협정 재탈퇴, 탄소 배출 규제 완화, 화석연료 개발 가속화 등으로 구체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민주당이 주도하는 일부 주(州)들이 기후 변화 대응의 선봉장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캘리포니아주와 캐나다와 태평양을 맞대고 있는 워싱턴주를 중심으로 한 이들의 기후 변화 대응 노력은 미국의 기후 정책에 새로운 희망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앞선 기후 정책을 펼치고 있는 주로 평가받고 있는 캘리포니아주가 2013년부터 시행 중인 배출권 거래제는 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0%를 포괄하고 있으며 2014년 이후 110억 달러의 기후 프로그램 기금 조성 및 1억900만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대기 오염물질 10만5,000톤 감소 및 2만9,000개의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차기 유력 대선주자 중 하나인 개빈 뉴섬이 주지사인 캘리포니아의 정책은 환경 정의 실천으로 이어져, 기후 프로그램 기금의 최소 35%를 취약 계층과 저소득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젝트에 할당하고 있다. 

주의 별명부터 '에버그린 스테이트'인 워싱턴주는 최근 주민 투표를 통해 기후변화대응법(Climate Commitment Act)의 폐지 시도를 막아냈다. 이 법은 2021년에 제정된 것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45%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법으로 온실가스 배출 기업들에게 분기별 경매를 통해 배출권을 구매하도록 한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해, 첫 경매에서 32억 달러의 수익 창출 성과를 올려 다수 기후 완화 및 적응 프로젝트 지원과 청소년 무료 대중교통 지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했다. 

워싱턴 주지사 제이 인슬리는 "워싱턴 주민들은 깨끗한 공기와 물의 가치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으며, 후퇴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주와 워싱턴주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에도 환경 규제 완화에 대항해 수십 건의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이밖에도 일리노이주, 뉴욕주 등 진보 성향 주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응하고 있다. 뉴욕 주는 맨해튼 중심부 진입 시 9달러의 혼잡통행료 부과 정책을 부활시켜 차량 혼잡과 배기가스를 줄이며 대중교통 기금을 마련한다. 

이들 진보 성향 주들의 노력은 연방 정부의 기후 정책 퇴행에 대해 상당한 견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최근 세계적인 기후 변화 대응 노력의 둔화 추세 및 미국의 정책 변화로 인해 파리협정의 목표 달성은 더 멀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