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하는 품목에 대해 25%, 중국산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4일부터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백악관은 이를 국제비상경제법(IEEPA)에 근거해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불법 이민자와 펜타닐 같은 치명적인 약물의 유입을 주요 위협으로 언급하며 국가 안보를 이유로 관세 부과를 정당화했다.
이번 조치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 의미도 가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행정부에서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해왔다.
캐나다와 멕시코 정부는 즉각 보복 조치에 나섰다.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는 기자회견을 열고 155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우리의 경제와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멕시코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즉각적인 대응을 지시하며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한 플랜 B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역시 이번 조치에 대한 반발을 나타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WTO에 제소하고 상응하는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다시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GDP가 각각 3.6%, 2% 감소할 것으로 보며, 미국의 GDP 또한 0.3%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일반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은 미국의 무역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으며, 통상전쟁의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관세 부과로 인한 보복 조치가 이어지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미국의 평균 수입품 관세율은 현재 약 2% 수준인데 트럼프의 정책이 추진된다면 이 수치는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관세 부과는 단순히 경제적 조치에 그치지 않고, 국제 정치와 무역의 복잡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결정은 미국 내외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향후 국제 무역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