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공장에서 직원이 알루미늄 전선을 생산하고 있다.
LS전선 공장에서 직원이 알루미늄 전선을 생산하고 있다.

관세 부과시 한국 제품 경쟁력 저하 우려 
한국 알루미늄· 철강 산업에 부정적 영향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알루미늄 및 철강 수입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했다.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기존의 10%에서 25%로 증가했고, 국가별 예외와 할당량 거래를 없애는 조치가 포함됐다.

이번 관셰 인상 조치는 3월 4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며,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한국 등에서 수입되는 수백만 톤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적용된다.

현지 시간 10일 로이터는 트럼프 미 대통령은 어려움에 처한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예외나 면제 없이" 일괄적으로 25%로 대폭 인상했지만 이로 인해 다각적인 무역 전쟁의 위험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이번 선언은 2018년의 232조 관세를 확대하는 것으로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산 금속의 수입 억제를 위해 새로운 북미 표준을 도입할 계획임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알루미늄 관세 인상은 한국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에서 수출되는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어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또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잃을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알루미늄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내 알루미늄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미국 외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 전략을 재편해야 할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미국 외의 다른 국가로의 수출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발굴해야 할 것입니다.

원자재 비용 증가: 한국의 알루미늄 가공업체들이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 제품 가격에 반영돼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다.

한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한국의 다른 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한미 간의 무역 관계를 긴장시키고, 협상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신규 투자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고, 위기 대처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