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이성중 기자] 구글이 대만에서 지열 에너지 개발을 위한 첫 기업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친환경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지난 15일 글로벌 지열 개발업체인 Baseload Capital과 체결한 이번 계약은 10MW 규모의 전력을 대만 전력망에 추가하고 현지 지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구글의 기존 재생에너지 목표를 지원하는 동시에 대만의 지열 시장 성장에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의 아시아 태평양 청정 에너지 및 전력 부문 책임자 Giorgio Fortunato는 "Baseload Capital과의 이번 파트너십은 대만 내 우리 사업에 중요한 '상시 가동' 능력을 더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 지열에너지 잠재력과 에너지 전환 과제
대만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상당한 지열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기저부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의료, 제조 및 데이터 센터와 같이 지속적인 에너지가 필요한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대만의 에너지 구조는 2022년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에 따르면 석탄 34.6%, 석유 34.2%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대만 정부는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20%, 2030년까지 40%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으나, 해상 풍력 발전 단지 건설 지연과 산악 지형으로 인한 태양광 발전소 확장 제한 등으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열 에너지는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대만 정부는 2050년까지 6GW의 지열 용량을 설치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구글의 지속적인 지열에너지 투자
대만은 구글의 지열 발전 투자 첫 사례가 아니다. 구글은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와 사무실 캠퍼스를 24/7 무탄소 에너지로 운영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지열 에너지는 이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2021년 구글은 청정 에너지 스타트업 Fervo와 협력하여 미국 네바다주에서 향상된 지열 발전 프로젝트를 개발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2023년부터 가동을 시작해 현지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구글은 전 세계 지열 에너지 개발에 전념하는 비영리 단체 Project InnerSpace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지열 에너지의 효율성과 전망
지열 에너지 시스템의 성능은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로 측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COP는 35, 냉방 EER은 1015(COP로 환산 시 약 2.9~4.4) 수준이다. 이는 투입 에너지 대비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열 발전은 2050년까지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의 15%를 충족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는 전 세계 전력 수요의 1% 미만만을 충족하고 있다.
구글의 EMEA 지속가능성 담당 이사 Adam Elman은 "대만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엄청난 지열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열 프로젝트를 가속화하고 24/7 청정 에너지 자원을 대만의 그리드에 도입하는 데 기업 조달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열에너지 중요성과 구글의 선제적 투자
구글의 대만 지열에너지 투자는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 간헐적 특성을 가진 태양광, 풍력과 달리 지열은 안정적인 기저부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어 24/7 무탄소 에너지 목표 달성에 핵심적이다. 둘째, 대기업의 선제적 투자는 지열 시장의 성장과 기술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
다만 지열 에너지 개발은 초기 탐사 및 시추 비용이 높고, 지질학적 리스크가 존재하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의 이번 투자는 대만의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다른 기업들의 유사한 투자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 발전과 비용 감소에 따라 지열 에너지는 배출량 증가 없이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유망한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용어설명] 지열에너지란 지표면의 얕은 곳에서 부터 수 Km깊이에 뜨거운 물과 돌을 포함하고 있는 땅의 에너지를 말한다. 지열에너지를 냉·난방시스템으로 이용 여름철에는 실내의 높은 온도를 지중으로 겨울철에는 지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난방을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