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대만이 지난 5월17일 영구 정지된 마안산-2호기(Maanshan-2)의 재가동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오는 8월23일 실시하기로 했다. 이번 투표는 사실상 탈원전 정책의 유턴 여부를 가를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대만 중앙선거위원회는 5월 말 성명을 통해 “마안산-2호기 재가동 여부를 국민이 직접 결정한다”며 투표 일정을 확정했다. 마안산 원전은 남부 핑둥현에 위치한 938MW급 가압경수로(PWR)이며, 1985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대만의 마지막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였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 기조에 따라 해당 원전을 2024년 5월 17일 0시부로 폐쇄했고, 그보다 앞서 2024년 7월에는 936MW급 마안산-1호기(Maanshan-1)도 영구 정지한 바 있다.
■ 반격 나선 친원전 야권…‘AI·반도체발 전력난’이 여론 바꿨다
이번 국민투표는 집권당의 탈원전 공약에 반기를 든 친원전 성향 야권의 주도로 성사됐다. 특히 최근 반도체 산업의 급성장과 AI 붐에 따라 대만의 전력 수요는 2030년까지 12~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안정적인 전력 확보 수단으로서 원자력 재조명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2021년에도 대만은 룽먼(龍門, Lungmen) 원전 프로젝트 재개 여부를 두고 국민투표를 실시한 바 있으나, 당시에는 근소한 차이로 건설 반대가 우세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1300MW급 비등수형 원자로(ABWR) 2기로 구성된 ‘제4원전’ 계획이었으나, 2014년 환경 논란으로 중단된 상태다.
■ 재가동까진 수년 걸릴 듯…원전법 개정, 수명 최대 60년 연장 허용
최근 대만 입법원은 기존 원전 운영 기간(최대 40년)에 20년 단위 연장 허용을 명시한 원자력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조정태(Cho Jung-tai) 총리는 “마안산-2호기 재가동에는 최소 3년 이상의 안전성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단기적 재가동에는 선을 그었다.
현재 대만의 전력 구성에서 원자력 비중은 2023년 기준 약 6.9%였으며, 마안산-1호기 폐쇄 이후에는 2.8% 수준으로 급감했다. 한때 6기의 원전이 대만 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던 시절과는 대조적이다.
대만 정부는 205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현재 12%에서 60~70%로 확대할 계획이나, 산업 수요 급증 속에 현실적 대안으로 원자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 구글, 대만서 첫 지열에너지 전력구매계약 체결
- 구글, 대만서 첫 해상풍력 PPA 체결…亞太 최초
- 대만, 美 LNG 수입 3배 확대 추진…일본·한국도 압박 커진다
- 한-대만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 위해 ‘맞손’
- 대만, 알래스카 LNG 투자 전격 합의…"안정적 수송·에너지 안보 동시 확보"
- 대만 최대 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윤린 OWF' 준공
- 대만, 대형 건물 옥상 태양광 설치 의무화 제안
- 대만, TSMC 전기요금 10% 인상할 듯
- 대만 CPC, 美 셰일가스 자산 인수 검토… 에너지 안보 강화 본격화
- 대만, 원전 폐쇄 이후 '에너지 전량 수입국'
- 대만 CTCI, CPC LNG 재기화 설비 10억 달러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