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LNG 쏠림이 심해질 경우, 공급선 다변화와 비상시 대응 전략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대만이 미국산 LNG 수입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면서, 아시아 에너지 시장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대만 경제부 궈즈후이(Kuo Jyh-huei) 장관은 최근 "미국산 LNG 수입을 최대 3배까지 확대할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움직임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광범위한 관세 부과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에너지 수출을 주요 협상 카드로 활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동맹국들 역시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미국산 석유와 가스 구매를 확대하는 추세다.

대만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부 알래스카에서 남부까지 총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해 가스를 수송하고, 이를 액화해 아시아 시장으로 수출하는 구조다.

특히 알래스카-대만 항로는 기존 걸프만(Gulf Coast) 대비 운송 시간이 절반 이상 단축돼 약 10일 만에 도착할 수 있어, 아시아 시장 겨냥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이는 일본과 한국 등 동아시아 주요국에도 새로운 공급 루트로 주목받고 있다.

대만의 미국산 LNG 수입 확대 움직임은 일본과 한국에도 새로운 과제를 던진다. 양국 모두 러시아, 카타르, 호주산 LNG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산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있었지만, 대만이 공격적으로 미국산 구매를 확대할 경우 동일 소스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일본은 2030년까지 LNG 비중을 20% 이상 유지할 계획이며, 한국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안정적 LNG 공급망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발 공급선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경우, 아시아 내 수급 불균형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대만은 마지막 남은 핵발전소를 5월17일 폐쇄할 예정이어서, 향후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과 한국 역시 탄소중립 목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천연가스를 '가교 에너지원'으로 삼고 있어, 아시아 전반의 LNG 수요는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미국발 공급 압박, 무역 리스크, 운송 경쟁 심화라는 삼중 변수 속에서, 일본과 한국은 LNG 장기계약 확대, 비상시 비축능력 강화, 공급선 다변화 같은 보다 정교한 수급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