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한미 고위급 통상 협의(4월24일 오후 9시(한국시간))가 임박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상 카드'로 제시할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통화에서 “우리 LNG 협력에 대해 논의하자”고 언급하며 본격적인 관심을 드러냈다. 440억 달러(약 62조원)에 이르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이번 협의의 핵심 의제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미 간 대규모 LNG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공동 투자, 방위비 분담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며 "양국이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원스톱 쇼핑' 방식의 협상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간의 통화 이후 미국 측의 요청으로 성사되었다. 주요 의제로는 무역균형, 조선, LNG 등 양국 간의 경제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 "알래스카 프로젝트로 관세 완화?"…정치와 에너지의 거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1300km 파이프라인을 통해 남부 니키스키까지 수송하고, 이를 액화해 아시아로 수출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수출 대상국으로는 한국, 일본, 대만이 거론되며, 본격 가동 시점은 2031년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이 프로젝트가 단순한 에너지 사업을 넘어 정치적 상징성까지 갖는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프로젝트를 통해 △장기 침체에 빠진 알래스카 지역 경제를 부흥시키고, △러시아의 북극권 에너지 영향력을 견제하며, △‘에너지 우방국’과의 공급망을 다지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이 프로젝트에 투자 또는 장기구매계약(LNG SPA) 형식으로 협력할 경우, 미국이 통상 마찰 해소의 조건으로 관세 완화 등의 유인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적용 범위에서 한국이 제외되거나 일부 품목에 유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도 있다.
■그러나 ‘정치적 제안’일 뿐…실익 따지면 고개 젓는 한국
한국 에너지 업계의 반응은 신중하다. 무엇보다 이 프로젝트는 사업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다. 한 대형 에너지기업 관계자는 “미국 측이 사업 구조나 수익 배분 방식 등 핵심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참여를 요청받고 있지만, 민간이 뛰어들기엔 여전히 ‘깜깜이 투자’”라고 토로했다.
또한, 본격적인 수출이 2030년대 초반에나 가능한 만큼, 단기적인 관세 협상과 연결 짓기엔 시간적 간극이 크다. 더구나 트럼프의 정치적 동기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이후까지 사업이 이어질지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점도 기업들의 발목을 잡는다.
이번 한미 통상 협의에서 알래스카 LNG가 ‘협상 테이블의 레버리지’로 쓰이긴 하겠지만,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미국의 압박을 완화할 유인책일 수는 있지만, 한국이 무턱대고 응하기엔 현실적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 [이슈]이재명, 천연가스·LNG 정책으로 '에너지 대전환' 가속화
- 알래스카 LNG, 환경단체 소송 기각…美 LNG 수출 확대에 ‘청신호’
- 대만, 美 LNG 수입 3배 확대 추진…일본·한국도 압박 커진다
- 제6회 LNG포럼 연사 "美 LNG 공급 확대, 글로벌 시장 판도 흔든다"
- 대만, 알래스카 LNG 투자 전격 합의…"안정적 수송·에너지 안보 동시 확보"
- ‘알래스카 LNG사업’ 참여, “막대한 국가경제 부담” 경고
- 한-알래스카 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 [이슈] 한국 '민감국가' 지정, 에너지산업 "쓰나미급 타격" 우려
- 일본 JERA,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검토
- 대만 CPC, 美 셰일가스 자산 인수 검토… 에너지 안보 강화 본격화
- 미국, 일본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공동 개발 추진
- 일본, Alaska LNG 프로젝트 검증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