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 선박을 겨냥해 도입한 신규 해상 규제가 미국 LNG 산업 전반에 심각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4월 17일,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 입항 시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애초 제안된 것보다 다소 완화된 수준으로, LNG선에는 직접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지만, LNG 운송 및 LNG 선박을 정책에서 전면적으로 제외하는 요청은 거부했다.
대신 미국산 LNG를 미국 국적, 미국 건조, 미국 운영 선박으로 단계적으로 운송하도록 의무화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단순 수수료 부과를 넘어, LNG 공급망 구조 자체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미국 LNG 업계는 즉각 반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조선·물류 분야의 왜곡된 관행에 대응하는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미국산 LNG를 미국산 선박으로 운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 내에는 필요한 LNG선이 존재하지 않으며, 신규 건조에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어 당장 정책을 준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장기 LNG 계약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구매자 비용 증가로 이어져 결국 미국의 LNG 공급국 지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정책이 기존 프로젝트에 소급 적용될 경우, "혁명적(Revolutionary)"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중국산 선박은 운영 중인 전 세계 LNG선의 약 7%를 차지하며, 신규 발주된 LNG선에서는 무려 28%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미국 LNG 산업의 미래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