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 해상풍력 수출산업화를 위한 공공의 전략적 역할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지난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장철민·정진욱·김동아 의원과 전국전력산업노동조합연맹(위원장 최철호)가 공동으로 개최한 '해상풍력 수출산업화를 위한 공공의 역할' 포럼에서는 해상풍력을 국가 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 공공부문의 적극적 참여와 구조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잇따랐다.
남태섭 전국전력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처장은 덴마크 탄소 배출의 25%를 차지하던 덴마크 국영 석탄발전소인 '동에너지(DONG ENERGY)'가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기업인 오스테드로 탈바꿈한 사례를 언급하며 “국내에도 해상풍력 전문 공기업 ‘K-오스테드’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 사무처장은 "공공 부문이 사업 주도권을 확보하고 주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해야만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조성과 수출산업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윤성 에너지와공간 대표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14.3GW 구축 시 총 87조원의 부가가치와 약 77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지금의 결정이 20년 후 한국 전력산업의 기반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해상풍력시장의 병목 현상과 공급망 산업 육성을 위해 연 2.5GW 수준의 안정적 입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해상풍력 수출산업화와 공공부문의 역할 강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김상수 한전 해상풍력사업처 실장은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시장을 통해 국내 공급망을 견인하고 글로벌 진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내에서도 1GW 이상의 트랙 레코드를 확보해야 해외 수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명숙 한국전력기술 신재생사업처장은 "해상풍력의 수출산업화를 위해 설계 기술 고도화와 표준화가 필수"라며 "국내 해역의 특성을 반영한 고정식 및 부유식 해상풍력 설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재혁 동서발전 신재생사업처장은 "해상풍력은 단순한 재생에너지를 넘어 수출산업화의 핵심"이라며, “발전공기업이 공급망 R&D, 실증, 운영·유지보수까지 전주기적 역할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긴밀히 협력해 ‘K-해상풍력 모델’을 정착시키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