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러시아 정부가 자국 재정의 핵심 지침인 ‘예산 규칙(budget rule)’을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유가 하락세가 장기화할 것으로 판단한 크렘린이, 국가재정의 현실적 반영을 위해 러시아산 원유 기준가를 현행 배럴당 60달러에서 50달러로 하향하는 방안을 내부 논의 중이다.
예산 규칙은 원유가격이 기준가를 초과할 경우 초과 수익을 국부펀드인 ‘국민복지기금(National Wellbeing Fund)’에 적립하고, 가격이 하락할 때 적립금을 꺼내 쓰는 러시아의 재정 안정장치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산 원유 수출가격이 60달러를 하회하면서 재정적자 확대와 국부펀드 고갈이 가속화되고 있다.
재정당국은 2025년 재정적자 목표치를 기존보다 세 배 이상 상향 조정했다. 국민복지기금의 가용 자산은 2022년 초 8.4조 루블(약 104조 원)에서 올해 4월 3.3조 루블(약 41조 원)로 급감한 상태다.
■ "유가 반등 기대 포기…생산량 확대로 승부수"
러시아는 OPEC+의 감산 전략 철회에도 동참하며, 유가보다 ‘생산량 확대’를 통한 수익 확보에 무게를 싣고 있다. 오는 6월 원유 생산량을 하루 916만 배럴까지 늘릴 계획이며, 이는 3월 기준보다 약 20만 배럴 증가한 수치다. 다만 공급 과잉 우려가 높아지면서 시장 안정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브렌트유 가격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인 배럴당 80달러선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여파로 수요 위축 전망이 확대되면서 에너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러시아는 재정 구조조정과 전시 지출 조율이라는 이중 부담을 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