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작가 유시민의 ‘B급론’이다. ‘윤석열 정권’ 을 뭉뚱그려 요약했지만, 서울에너지공사(공사)의 현 상황을 설명하는 데 이보다 더 적절한 비유가 또 있을까. 최근 공사의 조직개편과 인사조치로 내부 반발이 거세다. 황보연 사장의 ‘흑자경영 원년’ 선언이 ‘혼란 원년’으로 바뀌었다는 자조도 나온다. 논란은 인사 배치의 적정성이다. 내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핵심부서인 ‘미래전략실’을 포함한 주요 포스트에 태양광 사업 실패 인물들이 대거 기용됐다. 전문성과 무관한 ‘자기 사람 심기’란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특히 이번 개편에선 마곡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주관하던 ‘건설처’가 통째 사라졌다. ‘경영정상화’는 명분일 뿐, ‘민영화 수순’ 아니냐는 의구심은 그래서 더 커진다. 가뜩이나 민영화 논란으로 몸살을 앓는 이때 건설 주무부서를 없애는 개편은 이런 의구심을 더 키운다. 역할을 축소해 외부 민간 주체에 운영권을 넘기려는 포석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황 사장은 또 최근 ‘부당노동행위’ 혐의로 노동조합에 의해 고발됐다. ‘경영 혁신’이라는 명분 뒤에 강압과 독단이 숨어 있다면, 이는 단순한 경영상 판단의 문제가 아니다. 민주적 절차 무력화는 물론 명백한 공공성 파괴 행위다. 공기업의 인사가 사장 권한일 순 있다. 그러나 그 권한은 공공성과 투명성, 조직원들의 수긍 위에 쌓인 합의의 결과물일 때만 정당성을 가진다. 공적 자산을 다루는 에너지 공기업이라면 더욱 그렇다.
인사(人事)는 단순히 자리를 바꾸는 일이 아니다. 책임을 재배치하고 시민의 신뢰를 설계하는 일이다. 공사는 시민 혈세로 운영 되는 에너지 복지 공기업이다. 민영화 방향이 검토된다 하더라도, 그 추진은 공론과 절차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 낙하산, 측근 챙기기, 조직 장악 같은 낡은 방식은 더 이상 공공영역에 설 자리가 없다. 지금 필요한 건 사람을 바꾸는 ‘인사’가 아니라, ‘방식’을 바꾸는 운영이다. 시민은 ‘마름’의 지주 행세 꼴을 더 보고 싶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