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최근 제정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학계의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는 관련 기관들과 함께 법 시행에 따른 과제와 미래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는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안전한 미래, 책임있는 관리, 고준위방폐물 특별법과 함께”라는 주제로 2025 춘계학술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발표회 첫날인 14일에는 ‘미래세대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 ‘사용후핵연료 처분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사업추진 현황’, ‘국내 원전해체 사업의 준비 현황 및 계획’ 등 다양한 주제의 워크숍이 진행됐다.
둘째 날인 15일 오전에는 특별한 행사가 마련됐다. 지난 2월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3월 25일 법률 제20843호로 공포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기념하고, 향후 학회의 사명과 역할을 조망하기 위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공동으로 Special Event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특별법 제정에 따른 관리사업자의 과제’ 등 4건의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고준위방폐물의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체계적인 장기계획 수립, 관계 기관 간 적극적인 상호 협력, 수요자 관점의 혁신적인 소통전략이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한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사업을 가속화하여 원전 부지 내 저장시설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같은 날 오후에 열린 2025년 춘계학술발표회 개회식에서는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의 영상 축사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양기욱 원전전략기획관이 ‘원자력발전의 미래와 방사성폐기물’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펼쳤다. 양 원전전략기획관은 강연에서 "우리나라의 에너지 이슈와 원자력발전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전 세계적인 원자력 강국으로서 지속가능한 원자력에너지 이용을 위해서는 고준위방폐물 문제의 해결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학술발표회에서는 핵주기정책·규제 및 비확산 분과 등 총 7개 연구분과에서 439편의 논문이 15일 오후부터 16일 오전까지 발표되었으며, 1094명이 넘는 전문가들이 참석해 활발한 기술정보 교류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2003년 6월에 출범하여 올해로 창립 23년차를 맞은 방폐학회는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의 안전 관리에 기여하는 학술단체로, 현재 산·학·연 소속 개인회원 3866명과 74개 법인회원사가 활동 중이다.
정재학 방폐학회장은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으로 1978년 고리 1호기 상업운전 이후 반세기 동안 지속되었던 입법불비가 드디어 해소되었다”며, “그동안 특별법 제정을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입법활동 지원을 주도했던 학회로서 축하할 일이지만, 특별법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고준위방폐물 발생자, 관리사업자, 연구기관, 규제전문기관 등 모든 관련 기관이 우리세대와 미래세대의 안전과 환경을 보호한다는 기본원칙을 존중하고 함께 힘을 모은다면 충분히 해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