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국내에서 가동 중인 일부 원전에서 사용후핵연료 평균 저장률이 임계치를 넘어서고 있어 국민 안전이 직접 위협받고 있다고 김동아 의원이 23일 주장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서대문갑)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사용후핵연료 저장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 6월 말 현재 우리나라 원전 부지에 쌓여 있는 사용후핵연료 연료봉이 총 2524만 2233개 쌓여 있다고 밝혔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연료로 쓰인 뒤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비롯해 요오드·세슘 등 핵분열 생성물이 함께 포함돼 있다. 경수로에서는 하루 평균 약 3다발, 중수로에서는 하루 평균 약 23다발이 발생하고 있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김 의원은 특히 중수로 방식의 월성원전은 1938만 8592개의 폐연료봉을 보관하고 있어 전체의 약 77%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경수로 원전(고리·새울·한빛·한울·신월성)에는 585만 3641개가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했다. 

저장률도 이미 심각한 수준이라고 김 의원은 강조했다. 

월성2호기와 3호기는 각각 92.2%, 91.9%를 기록했으며 고리3호기 99%, 고리4호기 98%로 평균 91.2%의 높은 저장률을 보였다. 한빛 원전도 마찬가지 상황이라며 한빛3호기 93%, 한울1호기 97.2%, 한울2호기 96.9%, 한울6호기 93.5%로 포화 직전에 몰려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는 고준위 폐기물을 영구적으로 보관할 시설이 없어 모든 사용후핵연료가 원전 부지 내 임시저장시설에 쌓여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월성 원전은 맥스터 증설이 진행됐지만 경수로 원전의 경우 일부 본부에서 확충 계획이 추진되고 있을 뿐 전국적으로 통합된 확충 대책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국내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임계치에 다다르고 있어 장기간이 소요되는 처분시설 건설을 감안하면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문제 해결 없이는 미래세대에 부담만 전가하는 만큼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사용후핵연료 저장 현황(2025.6월 기준, 김동아 의원실 제공)

구분

본부/호기

저장용량

현저장량

저장률

[다발]

[다발]

[연료봉]

[다발, %]

경수로

고리

고리#1

485

485

86,904

100.0%

고리#2

799

748

175,767

93.6%

고리#3

2103

2,081

514,748

99.0%

고리#4

2,105

2,062

526,174

98.0%

신고리#1

1,273

949

202,051

74.5%

신고리#2

1,273

1,008

237,406

79.2%

소 계

8,038

7,333

1,743,050

91.2%

새울

신고리#3

780

496

117,056

63.6%

신고리#4

780

300

70,800

38.5%

소 계

1,560

796

187,856

51.0%

한빛

한빛#1

2,105

1,889

498,678

89.7%

한빛#2

2,100

1,681

435,714

80.0%

한빛#3

1,125

1,046

246,856

93.0%

한빛#4

1,125

961

226,784

85.4%

한빛#5

1,281

918

216,648

71.7%

한빛#6

1,281

987

232,932

77.0%

소 계

9,017

7,482

1,857,612

83.0%

한울

한울#1

957

930

245,520

97.2%

한울#2

905

877

231,525

96.9%

한울#3

1,321

1,194

286,142

90.4%

한울#4

1,321

1,139

273,508

86.2%

한울#5

1,281

1,131

269,604

88.3%

한울#6

1,281

1,198

285,080

93.5%

신한울#1

1,603

892

232,688

55.6%

신한울#2

781

90

21,576

11.5%

소 계

9450

7,451

1,845,643

78.8%

신월성

신월성#1

1,294

536

126,496

41.4%

신월성#2

1,294

394

92,984

30.4%

소 계

2,588

930

219,480

35.9%

경수로 합계

30,653

23,992

5,853,641

78.3%

중수로

월성

월성#1

448

448

16,576

100%

월성#2

42,408

39,084

1,446,108

92.2%

월성#3

42,408

38,988

1,442,556

91.9%

월성#4

42,408

36,656

1,356,272

86.4%

건식저장시설

498,000

408,840

15,127,080

82.1%

중수로 합계

625,672

524,016

19,388,592

83.8%

총 계

656,325

548,008

25,242,233

83.5%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