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반 인프라 투자와 정책 이행 속도를 높이지 않는다면, 인도는 ‘성장률은 높지만 지속 가능성은 낮은 에너지 구조’라는 역설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지 편집
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반 인프라 투자와 정책 이행 속도를 높이지 않는다면, 인도는 ‘성장률은 높지만 지속 가능성은 낮은 에너지 구조’라는 역설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의 청정에너지 싱크탱크 록키마운틴연구소(Rocky Mountain Institute, 이하 RMI)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인도가 향후 수십 년간 청정에너지의 세계적 허브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핵심 조건은 '투자 확대'다.

■ 2050년까지 전력 수요 3배 증가 전망…청정 전환은 아직도 ‘4% 투자’에 불과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전력 수요는 △경제성장 △도시화 △중산층 증가 △냉방 수요 확대 등에 따라 2050년까지 3배 가까이 증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수요 증가는 인프라와 에너지 구조 자체를 청정 중심으로 처음부터 설계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unparalleled opportunity)’로 평가된다. 미국이나 유럽과는 달리, 인도는 아직 2050년대 중반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건물 재고(stock)가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도의 청정에너지 투자 비중은 글로벌 전체의 4%에 불과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선 현재보다 훨씬 더 많은 자본 유입이 필요하다.

■ 연간 680억 달러 필요…현재는 133억 달러에 그쳐

에너지 전문 싱크탱크 엠버(Ember)는 올해 초 보고서를 통해, 인도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500GW △2032년까지 600GW 이상 구축하려면 연간 68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2024회계연도 기준 인도의 재생에너지 관련 투자액은 133억 달러에 그쳤다. 전년 대비 40% 증가한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절대적 부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달성하려면 2032년까지 총 3,000억 달러의 자본 유입이 요구된다. 만약 자금이 제때 뒷받침된다면, 인도는 중장기적으로 유럽과 북미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RMI 보고서의 결론이다.

■ 신흥국의 새로운 ‘에너지 모델’ 될까

인도의 청정에너지 전환은 단지 국내적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보고서는 인도가 탄소집약적 산업 구조와 화석연료 의존을 탈피하고 청정에너지 중심 국가로 전환할 경우, 신흥국 전체에 ‘청정전환의 현실적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있어 인도는 '규모'와 '시기', '기술 적용성' 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