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유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향후 OPEC+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이 유가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지 편집
국제 원유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향후 OPEC+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이 유가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OPEC+2027년 원유 생산 기준(baseline)을 재정의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이와 동시에 오는 6월1일(토) 8개 회원국이 별도로 논의할 7월 증산 방안이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22년 이후 시행 중인 세 겹의 감산 체계는 유지되지만, 점진적인 증산 흐름과 기준 재설정이 맞물리면서 OPEC+의 내분과 전략적 재편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지난 5월28일(현지시간) OPEC+는 비엔나 본부에 각국의 최대 생산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산정 메커니즘 마련을 공식 요청했다. 해당 기준은 2027년 각 회원국의 신규 산유량 할당의 기준이 될 예정이다. 이는 UAE·이라크 등 증산 역량이 강화된 회원국들과, 감산 여력이 감소한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이해충돌 속에서 이뤄진 조치다. 앞서 앙골라는 2024년 생산량 배정 불만으로 OPEC+를 탈퇴한 바 있다.

OPEC+는 현재 전 세계 원유의 절반가량을 생산하며, 2022년 이후 총 세 차례 감산을 단행해 시장 안정화에 주력해왔다. 이 가운데 두 가지 감산은 2026년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8개국이 2024년부터 점진적으로 해제 중이다. 오는 6월 1일 개최되는 8개국 회의에서는 7월 하루 41만1천 배럴(bpd) 수준의 증산안이 재확인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감산 불이행국에 대한 경고와 시장점유율 회복을 전략적 목표로 삼고 있으며, 실제 5~6월 증산은 당초 계획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이러한 조치는 단기적으로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4월에는 배럴당 60달러 미만으로 하락했다가 최근에는 약 65달러선으로 회복된 상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