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이라크 정부가 향후 3년 내 소규모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1000개 이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석유 의존 국가에서 재생에너지 중심 국가로의 전환을 본격화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마즈하르 모하메드 살리(Mazhar Mohammed Salih) 이라크 총리 경제 고문은 “태양광은 2030년까지 이라크 에너지믹스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라크는 중동 내 OPEC 2위 산유국임에도, 전력의 99% 이상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란으로부터 천연가스 및 전기를 수입해야 할 정도로 전력 자립도가 낮은 상황이다. 국제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에 따르면 2023년 이라크의 청정에너지 비중은 단 1.2%였으며, 그 중 수력 발전이 0.9%, 태양광과 풍력은 0.3%에 불과했다.
■ UAE 마스다르와 1GW 협약… 탈탄소 에너지 확장 본격화
이번 프로젝트는 UAE 재생에너지 전문기업 마스다르(Masdar)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이라크 전력부 장관 지야드 알리 파델(Ziyad Ali Fadel)은 마스다르와 총 1000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설비 구축 협의를 마쳤으며, 양국은 실질적인 착공을 앞두고 있다.
마스다르는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 아드녹(ADNOC), 국부펀드 무바달라(Mubadala), 국영전력회사 타카(TAQA)가 공동 소유한 중동 최대 재생에너지 기업이다. 마스다르는 2030년까지 100GW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 자산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동 재생에너지 시장 점유율 35%, 유럽 20%, 미국 25%를 노리고 있다.
■ 석유에서 태양으로… OPEC 국가의 전략적 전환
이라크의 이 같은 전환은 전력 수요 증가, 기후변화 대응 압박, 에너지 수입 부담 완화라는 삼중 과제를 해소하려는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이라크는 이란 제재로 인해 미국의 예외 허가(Waiver)를 통해 전력을 수입해 왔으나, 향후 자국 내 청정에너지 인프라 확충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와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발전소 건설을 넘어, 중동 산유국들의 탈탄소 흐름에 이라크도 동참한다는 상징성을 지닌다. 태양이 가득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이라크는 ‘석유국가’에서 ‘청정에너지 허브’로 탈바꿈할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 OPEC+, 2027년 기준 재편 착수… 7월 증산 가능성 고조
- [해설] 글로벌 석유시장, 수요 둔화 속 공급 과잉 본격화
- IMF "걸프 산유국 성장 둔화"…유가 하락·무역갈등 여파
- 튀르키예, 이라크 석유 수송 새 판 짠다…지중해 연결 신노선 추진
- OPEC+, 감산에서 증산으로…유가 변동성 커지는 글로벌 시장
- 이라크, '가스 부국'으로 거듭날까… 에너지 개발 본격화
- 이라크, 첫 미국산 LNG 도입 시동…에너지 독립 본격화하나
- 이란 가스 공급 급감에 이라크 전력망 비상… 발전소 가동 중단
- UAE-독일, 에너지 협력 가속… SEFE, 중동 LNG로 포트폴리오 강화
- 이라크, Excelerate와 FSRU 본격화…전력난·가스 수입 공백 대응
- 이라크 쿠르디스탄 Sarsang 유전 드론 피격… HKN Energy 가동 중단
- 이라크, ‘가스 소각 제로’ 전환 본격화
- 중국 민간 석유기업, 이라크 원유 시장 잠식 가속
- 이라크, FLNG 수송 시스템 개발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