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이라크 북부 쿠르디스탄(Kurdistan) 자치구에 위치한 Sarsang 유전이 무인기(드론) 공격을 받아 가동이 중단됐다. 유전 운영사인 HKN Energy는 공격 이후 “현장 내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모든 생산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Sarsang 유전은 쿠르디스탄 자치구 내 주요 중형 유전 중 하나로, 자치정부의 재정 기반을 떠받치는 핵심 자산이다. 이번 공격은 해당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를 직접 겨냥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무력 충돌을 넘어 전략적 타격으로 해석된다.
Kurdistan 지역정부는 즉각 성명을 통해 “이는 자치구의 경제 기반을 붕괴시키려는 테러 행위(Terror Act)”라고 규정하고, 중앙정부 및 국제사회에 안보 및 통제권 보장을 촉구했다.
■ 연쇄 드론 공격… 에너지·군사시설 연달아 타격
이번 사태는 단발적 사건이 아니다. 최근 수 주 동안 쿠르디스탄 전역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공격이 연이어 발생, 에너지 기반시설은 물론 군사·행정시설까지 폭넓은 타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정확성과 회피성이 높은 소형 드론 공격의 빈도와 정밀도가 모두 상승 중”이라며, 향후에도 유사한 공격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실제 Sarsang 외에도 최근 Kirkuk, Khurmala 등 쿠르디스탄 주요 유전 주변에서 경계 강화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국제 유가 및 수급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향후 장기화 시 외국계 기업들의 철수 및 투자 지연 등 부정적 파급이 우려된다.
■ 배경은 '자원 통제권 분쟁'… 중앙정부-자치정부 갈등 뇌관
이번 공격의 본질은 이라크 중앙정부와 쿠르디스탄 자치정부 간의 '자원 통제권 분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양측은 수년간 원유 수출권한, 수익 분배, 계약 승인 주체 등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해왔으며, 이번 공격 역시 이 갈등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평가다.
특히 쿠르디스탄 자치정부는 자체적으로 국제 석유회사들과 계약을 맺고 독립적으로 원유를 수출해 왔는데, 이 구조를 이라크 중앙정부는 불법으로 간주하며 통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동 정세 전문가들은 “쿠르디스탄은 자치성과 국제 연계성이 강한 반면, 중앙정부는 통합적 통제력을 회복하려는 정치적 압력을 받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는 지역 안보에 있어 지속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