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이 고리1호기 해체계획서 최종 승인을 받으며 국내 원전 해체기술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번 승인은 단순한 문서 개발을 넘어 국내 원전 해체기술의 기준을 수립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한수원은 해체계획서 완성을 통해 해체 비용평가, 선량평가, 안전성평가, 폐기물량 및 특성평가 등 세부 기술 요소에 대한 체계적 작성 방법론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립했다. 이로써 원전 해체사업의 견고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성과는 월성 1호기 해체계획서 작성에도 후속 적용될 예정이며, 보다 고도화된 평가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수원은 2016년 중앙연구원의 연구과제를 기반으로 고리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작성에 착수했다. 2021년 5월에는 주민의견을 수렴한 최종해체계획서 초안을 완료하고 규제기관에 제출한 바 있다.
한수원 중앙연구원은 완벽한 해체를 위해 58개 기술을 이미 확보했으며, 현재 중준위폐기물 운반용기, 규제해제 매체별 기반기술, 고방사화 기기의 절단/제염 실증 인프라 구축 등 7개 분야 핵심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전 중심 해체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평가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이번 해체 승인은 국내 해체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해체시장 개척에 한발 앞장선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해체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로 한수원은 원전 건설부터 환경복원까지 전주기 원자력 기술을 완성하는 중요한 단계를 완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