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는 21일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대회의실에서 방사성폐기물 발생 및 관리 기관과 함께 '원자력안전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올해 여섯 번째 열린 라운드 테이블은 방사성폐기물의 신속하고 안전한 처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에 따라 본격화되는 고리 1호기 해체와 2026년부터 운영 예정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방사성폐기물 2단계 처분시설이 테이블에 올랐다.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방사성폐기물 발생 기관은 각 기관이 추진 중인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저장과 처리 노력을 소개했다. 또 시설에 저장 중인 방사성폐기물의 체계적이고 신속한 처분 계획을 설명했다.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많은 양의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규제체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에 대한 원안위의 적극적인 역할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방사성폐기물 업무 수행 현장에서 느낀 제도와 절차상의 애로사항과 보다 합리적인 규제 이행을 위해 필요한 규제 개선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최원호 위원장은 "고리 1호기 해체 본격화는 우리나라 방사성폐기물 관리 체계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와 처분은 원자력 이용의 마지막 단계이자 그 영향이 우리 후손 대대로 이어지는 매우 중요한 과제인 만큼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원안위는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해 안전하고 신속한 방사성폐기물 처리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합리적이고 예측가능한 규제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