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월 8일 오전 1시 20분(한국시간 기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한국에 대한 25% 상호관세율 및 발효일자 등이 포함된 서한을 공개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서한을 사실상 8월 1일까지의 관세 부과 유예로 해석하며, 남은 기간 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는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는 내용이 명시됐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된 국별 관세 수준과 동일하다. 또한, 서한에서는 더 높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환적된 상품에도 해당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것이며, 만약 한국이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별 관세에 보복관세만큼 더해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산업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익 최우선 원칙을 바탕으로 치열하게 협상에 임해왔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대한 합의 도출까지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부는 이번 서한을 8월 1일까지 상호관세 부과가 사실상 유예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미국 측과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를 도출하는 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한 미국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국내 제도 개선 및 규제 합리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