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폭군’ 본색이 우리를 정면으로 겨냥했다.
현지시간 7일 트럼프는 다음달 1일부터 한국산 전 제품에 대해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자신의 SNS를 통해 ‘관세 폭탄’을 투하한 트럼프의 일방 조처는 ‘외교적 절차 무시’를 넘어 동맹국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조차 갖추지 않은 사실상의 협박 행위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는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다시 꺼내들며 무역과 안보를 억지로 끼워 넣은 '통합 협상'이란 이름으로 으름장을 놓고 있다.
문제는 이 폭탄이 단지 ‘무역 수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중대한 국가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에너지 산업은 외자 의존도가 높은 우리 현실을 고려할 때 단순히 '제품에 부과된 25%'라는 숫자 이상으로 국내 공급망과 정책 전반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트럼프의 '상호주의' 주장엔 이율배반이 가득하다. 자신은 ‘공정’을 외치지만 실제론 미국의 일방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천민 자본주의’ 논리를 강요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들에 ‘돈 안 되는 동맹은 필요 없다’는 식의 발언을 일삼는 건 G2 시대를 열어가야 할 글로벌 파트너십의 가치를 송두리째 부정하는 처사다.
트럼프의 행보에 중국, 캐나다, 일본, 멕시코, 브라질 등은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있다. 자국 산업과 주권을 지키기 위한 단호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단 얘기다.
반면, 한국은 아직도 ‘동맹’이라는 말에 발이 묶여 제대로 된 대응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25% 관세가 현실화되면 한국의 에너지 수출입 밸런스는 물론, LNG·석유화학·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반의 투자 계획도 재조정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정치 외교’가 아닌 ‘산업 외교’, 특히 ‘에너지 외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한국은 세계 5위권의 에너지 수입국이자, 반도체·배터리·수소 등 미래 에너지 기술의 주요 공급국이다.
이 강점을 활용해 미국 내 에너지 네트워크와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고 국익에 반하는 압박에 대해선 당당히 맞서야 한다.
지금은 말보다 실천이 필요한 때다. 8월1일 관세 발효까지 3주. 이재명 정부 출범 한 달을 넘긴 지금 대통령의 외교 메시지가 여전히 모호한 건 실망스럽다.
“관세는 조정될 수 있다”는 트럼프의 뒷말에만 기대면서 '시간 끌기 외교'를 할 경우, 결국 한국은 산업적 타격과 외교적 굴욕이란 이중고를 겪게 될 것이다.
한국은 더 이상 '침묵하는 동맹국'이 돼서는 안 된다. 에너지 안보는 국가의 생존이자 미래다. 이재명 정부는 이번 위기를 ‘에너지 독립 외교’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불공정한 관세 폭탄엔 강하게 맞서고 미국 내 투자 확대를 무기삼아 전략적 재협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동맹이란 이름 아래 침묵만 강요당하는 관계는 이제 끝내야 한다.

